본문 바로가기
2008.02.25 21:06

재개비

조회 수 7130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재개비

‘재개비’는 재의 티끌이다. “반반히 불타버린 동네쪽에서는 아직도 재개비가 흩날리고 매캐한 파벽토냄새가 풍겨왔다.” (피바다)
“비방울이 후둑후둑 떨어졌다. 벌겋게 널린 숯불바닥에 구름처럼 김이 피여오르고 재개비가 흩날렸다.”(시대의 탄생 1)

‘재’라고 해도 될 것을 왜 ‘재개비’라 했을까? ‘재가 흩날린다’면 ‘많은 재가 날리거나 재가 조금 날리는 것’을 두루 나타내는데, ‘재개비가 흩날린다’면, ‘많은 재가 날리는 것’은 아니다.

재개비의 ‘개비’는 일상적으로 많이 쓰인다. ‘성냥개비, 장작개비’ 등이 그렇다. 심지어 ‘팔랑개비, 바람개비’도 같은 것이라 생각된다. ‘개비’가 본디‘가늘고 길쭉한 토막의 낱개’를 뜻하는데, 풍차처럼 바람에 돌아갈 수 있도록 ‘개비’를 붙여서 만들었기에 그렇게 이름 짓지 않았을까.

'깨비’도 마찬가지다. 북녘말 ‘동이깨비’와 남북이 같이 쓰는 ‘지저깨비’가 있다. ‘개비’가 ‘깨비’로 쓰이는 것은 발음에 이끌려 굳어진 탓이다. ‘재개비, 성냥개비, 장작개비’도 두루 ‘깨비’로 소리난다. ‘동이깨비’는 말 그대로 질그릇인 ‘동이’가 깨진 조각을 말한다. 지저깨비는 ‘지저분하다’와 ‘개비’의 결합으로 보이는데 ‘지저분한 조각’이다. 남북 모두 나무를 패거나 깎을 때 나오는 나뭇조각을 이르고, 북녘에서는 나무 이외의 대상에도 쓰인다.

“곡괭이는 비척거리며 튕겨오를뿐 콩크리트에서는 작은 지저깨비도 일지 않았다.”(평양시간)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47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94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980
3238 대원군 바람의종 2007.06.24 8919
3237 대책 바람의종 2007.06.25 6401
3236 대처승 바람의종 2007.06.25 9659
3235 도락 바람의종 2007.06.26 7424
3234 도구 바람의종 2007.06.26 5780
3233 도량 바람의종 2007.06.27 6864
3232 도탄 바람의종 2007.06.27 5486
3231 동기간 바람의종 2007.06.28 7678
3230 동냥 바람의종 2007.06.28 9712
3229 등용문 바람의종 2007.06.30 6873
3228 막론 바람의종 2007.06.30 6297
3227 말세 바람의종 2007.07.01 8651
3226 면목 바람의종 2007.07.01 8069
3225 명일 바람의종 2007.07.02 11210
3224 모리배 바람의종 2007.07.02 16500
3223 모순 바람의종 2007.07.03 5766
3222 목적 바람의종 2007.07.03 6930
3221 무녀리 바람의종 2007.07.04 9089
3220 무진장 바람의종 2007.07.04 7338
3219 문외한 바람의종 2007.07.05 8717
3218 미망인 바람의종 2007.07.05 6103
3217 미인계 바람의종 2007.07.06 711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