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19 17:54

원추리

조회 수 6402 추천 수 1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원추리

산과 들에 흔히 나서 봄나물로 새콤달콤하게 무쳐 먹는 ‘원추리’는 한자이름 ‘훤초’(萱草)에서 온 것으로 생각된다. 곧 ‘훤초’에서 편한 발음인 ‘원초’로, 모음조화로 ‘원추’로, 여기에 ‘나리/ 싸리/ 보리 …’들과 같이 ‘리’가 붙어 원추리로 부른 것이 아닐까 한다. 이는 마치 백일홍(百日紅)이 변해서 ‘배롱’으로, 한자말 백채(白寀)의 중국 발음 ‘바이차이’가 ‘배추’로 변한 것과 같이 풀이할 수 있는데, 더 거슬러 오르면 그 반대일 수 있다는 반론도 나온다.

원추리의 순우리말은 ‘넘나물’이다. 입이 넓고 길게 퍼진 것으로 말미암아 ‘넓〉넘’의 과정을 거친 듯하다. 그래서 어떤 이는 광채(廣菜)로 쓰기도 한다. 하지만 이는 ‘넙치’를 ‘광어’로 부르는 것처럼 쓸데없는 일이다. 이미 16세기 〈훈몽자회〉에서는 훤(萱)은 ‘넘B믈’로 쓴 적이 있건만, 17세기 〈산림경제〉에는 ‘원츄리/ 업?믈’로 나온다.

원추리 꽃은 진한 노란색인데, 산수유나 개나리의 노랑이 그렇듯 강력한 생명력을 상징한다. 아이를 밴 부인이 사내아이 고추 모양을 한 원추리 꽃봉오리를 지니고 다니면, 아들을 낳는다는 속설이 있어서 ‘의남초’(宜男草)라고 부르기도 했다. 또한 근심을 잊게 하는 꽃이라 하여 ‘망우초’(忘憂草)라 일컫기도 했다.

이처럼 꽃도 보고, 나물로 먹고, 아들도 낳게 해 주고, 걱정도 없애 주니 예전에 장독대와 뒤뜰에 그렇게 심었나 보다.

임소영/한성대 언어교육원 책임연구원





[원추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181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48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275
3238 적과의 동침, 어미 천국 風文 2022.07.31 1552
3237 순직 風文 2022.02.01 1553
3236 생각보다, 효녀 노릇 風文 2022.09.02 1553
3235 말의 적 / 화무십일홍 風文 2023.10.09 1553
3234 부동층이 부럽다, 선입견 風文 2022.10.15 1556
3233 저리다 / 절이다 風文 2023.11.15 1556
3232 말의 평가절하 관리자 2022.01.31 1558
3231 돼지껍데기 風文 2023.04.28 1558
3230 귀 잡수시다? 風文 2023.11.11 1561
3229 뉴 노멀, 막말을 위한 변명 風文 2022.08.14 1562
3228 직거래하는 냄새, 은유 가라앉히기 風文 2022.08.06 1565
3227 두꺼운 다리, 얇은 허리 風文 2023.05.24 1565
3226 방방곡곡 / 명량 風文 2020.06.04 1567
3225 마라톤 / 자막교정기 風文 2020.05.28 1568
3224 어떻게 토론할까, 질문 안 할 책임 風文 2022.07.24 1570
3223 마그나 카르타 風文 2022.05.10 1572
3222 마녀사냥 風文 2022.01.13 1573
3221 ‘선진화’의 길 風文 2021.10.15 1575
3220 말로 하는 정치 風文 2022.01.21 1575
3219 '밖에'의 띄어쓰기 風文 2023.11.22 1578
3218 자백과 고백 風文 2022.01.12 1579
3217 '김'의 예언 風文 2023.04.13 157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