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16 13:58

남산 신성비

조회 수 929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남산 신성비

‘경주 남산 신성비’는 6세기 말께 경주 남산에 성을 쌓으면서 기록한 비문이다. 이 비문은 1934년 제1 비를 시작으로 모두 아홉 개가 발견됐는데, 축성과 관련된 이두문과 축성인이 적혀 있다. 이 이두문은 “신해년 2월26일 남산 신성을 지을 때, 법대로 지은 지 3년에 붕파된 것은 죄를 줄 일로 삼아 교지에 따라 맹서하는 일”로 시작된다. 축성 관련자 이름에는 직책과 출신지가 기록된다. 예컨대 ‘아량라두 사훼 음내고 대사’(阿良旅 沙喙 音內古 大舍)는 “아량촌 순시관(라두)은 사훼부의 음내고(인명) 대사(직함)”로 풀이할 수 있다. 여기서 ‘아량’은 〈삼국사기〉지리지에 나오는 ‘아시량’인데, 법흥왕 때 신라에 통합되었다. ‘아시량’은 이두식으로 풀면 ‘아래’가 되며, 우리말을 한자음으로 적은 것으로 보면 ‘아시’가 된다. ‘아시’는 ‘어시’, 곧 ‘어이’나 ‘엇’이 되니 ‘어머니’를 뜻하는 말로도 볼 수 있다.

흥미로운 것은 기록된 역사적 사실이 금석문을 통해 증명될 때가 많다는 점이다. 얼마 전 한 일본 학자가 독도 문제를 거론한 적이 있다. 그는 “한국 사람은 모두 독도가 한국땅이라고 알고 있다. 그렇지만 그것을 논리적으로 설명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일본 사람은 20%만이 독도가 일본땅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20%의 일본인은 그것을 매우 논리적으로 설명한다”라고 하였다. 역사 기록과 발굴 유적을 두루 살피는 일은, 우리의 말글, 역사를 논리적으로 이해하는 첫걸음이 될 것이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13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663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1551
3260 노루귀 바람의종 2008.02.04 6736
3259 게르만 말겨레 바람의종 2008.02.05 8742
3258 돌서덕 바람의종 2008.02.05 9707
3257 이랑과 고랑 바람의종 2008.02.05 7434
3256 부처손 바람의종 2008.02.10 8812
3255 ‘모라’와 마을 바람의종 2008.02.10 8125
3254 우랄 말겨레 바람의종 2008.02.10 8995
3253 노박비 바람의종 2008.02.11 8498
3252 돕다와 거들다 바람의종 2008.02.11 6716
3251 패랭이꽃 바람의종 2008.02.11 9203
3250 백두산 바람의종 2008.02.12 8343
3249 바스크말 바람의종 2008.02.12 6956
3248 물어름 바람의종 2008.02.12 8515
3247 춥다와 덥다 바람의종 2008.02.13 10271
3246 광대수염 바람의종 2008.02.13 8683
3245 두만강과 여진어 바람의종 2008.02.14 8713
3244 극동 언어들 바람의종 2008.02.14 8147
3243 귀지하다 바람의종 2008.02.15 9983
3242 서낭 바람의종 2008.02.15 7335
3241 씀바귀 바람의종 2008.02.15 7973
» 남산 신성비 바람의종 2008.02.16 9295
3239 퉁구스 말겨레 바람의종 2008.02.16 1087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