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05 12:45

게르만 말겨레

조회 수 8484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게르만 말겨레

유럽 쪽 말겨레 가운데 역사가 오래고 그 분포가 넓은 것에 게르만 말겨레가 있다. 독일말이 게르만 말겨레에 드는 대표적인 말이다. 이 게르만 말겨레는 다시 몇 갈래로 나뉜다.

발트해 북쪽에서 게르만 말겨레에 드는 말에는 고대 아이슬란드말에서 내려온 스칸디나비아반도의 스웨덴말·노르웨이말·덴마크말이 있다. 이들은 저마다 자기 말을 해도 서로 의사소통이 될 정도로 비슷하다. 다만 이웃한 핀란드말은 이들과는 전혀 다른 우랄 말겨레에 속한다.

발트해 남쪽에 있는 게르만 말겨레는 역사적으로 다시 두 갈래로 나뉘는데, 하나는 독일말로 발전한 높은 지대 게르만말이고, 다른 하나는 낮은 지대 게르만말로 그 일부가 영어와 네덜란드말로 발전하였다.

영어를 기준으로 게르만 말겨레의 친족 관계를 비유해서 살펴보자. 우선 영어는 네덜란드말과는 형제쯤으로 생각할 수 있다. 그리고 독일말과는 사촌 정도로 볼 수 있다. 더 나아가 이들과 스칸디나비아반도의 스웨덴말·노르웨이말·덴마크말과는 재종쯤으로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삼종(팔촌)도 생각해 본다면, 라틴 말겨레에 드는 프랑스말과 스페인말, 슬라브 말겨레에 드는 러시아말, 그리고 그리스말 따위가 될 것이다.

영어는 프랑스말에서 수많은 낱말을 가져왔기에 겉으로는 프랑스말과 같은 말겨레처럼 보이지만, 역사적으로나 문법적으로는 독일말과 같이 게르만 말겨레에 든다.

권재일/서울대 교수·언어학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48580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194999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09971
    read more
  4. 노루귀

    Date2008.02.04 By바람의종 Views6562
    Read More
  5. 게르만 말겨레

    Date2008.02.05 By바람의종 Views8484
    Read More
  6. 돌서덕

    Date2008.02.05 By바람의종 Views9517
    Read More
  7. 이랑과 고랑

    Date2008.02.05 By바람의종 Views7298
    Read More
  8. 부처손

    Date2008.02.10 By바람의종 Views8670
    Read More
  9. ‘모라’와 마을

    Date2008.02.10 By바람의종 Views7890
    Read More
  10. 우랄 말겨레

    Date2008.02.10 By바람의종 Views8823
    Read More
  11. 노박비

    Date2008.02.11 By바람의종 Views8313
    Read More
  12. 돕다와 거들다

    Date2008.02.11 By바람의종 Views6536
    Read More
  13. 패랭이꽃

    Date2008.02.11 By바람의종 Views8912
    Read More
  14. 백두산

    Date2008.02.12 By바람의종 Views8126
    Read More
  15. 바스크말

    Date2008.02.12 By바람의종 Views6771
    Read More
  16. 물어름

    Date2008.02.12 By바람의종 Views8343
    Read More
  17. 춥다와 덥다

    Date2008.02.13 By바람의종 Views10093
    Read More
  18. 광대수염

    Date2008.02.13 By바람의종 Views8524
    Read More
  19. 두만강과 여진어

    Date2008.02.14 By바람의종 Views8539
    Read More
  20. 극동 언어들

    Date2008.02.14 By바람의종 Views7982
    Read More
  21. 귀지하다

    Date2008.02.15 By바람의종 Views9794
    Read More
  22. 서낭

    Date2008.02.15 By바람의종 Views7107
    Read More
  23. 씀바귀

    Date2008.02.15 By바람의종 Views7801
    Read More
  24. 남산 신성비

    Date2008.02.16 By바람의종 Views9074
    Read More
  25. 퉁구스 말겨레

    Date2008.02.16 By바람의종 Views10591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