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04 02:09

마개와 뚜껑

조회 수 8244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마개와 뚜껑

‘마개’는 ‘막다’는 움직씨의 줄기 ‘막’에 ‘애’가 붙고, ‘덮개’는 ‘덮다’는 움직씨의 줄기 ‘덮’에 ‘애’가 붙어 이름씨 낱말이 되었다. 이때 ‘애’는 “~에 쓰는 무엇”이라는 이름꼴 씨끝이다. 그래서 마개는 “막는 데에 쓰는 무엇”이고, 덮개는 “덮는 데에 쓰는 무엇”이다. 막는 것은 무엇이며 덮는 것은 무엇인가? 병이나 항아리 따위 아가리가 구멍인 것에다 안으로 끼워서 안에 든 것이 밖으로 나오지 못하도록 지키는 노릇이 막는 것이고, 바깥으로 감싸서 밖에 있는 것이 안으로 들어가지 못하도록 지키는 노릇이 덮는 것이다. 그러므로 마개는 막았다가 뽑아야 하고, 덮개는 덮었다가 벗겨야 한다. 그리고 덮개는 병이나 항아리 같이 아가리가 구멍인 것보다는 아가리가 큰 통이나 독이나 도가지 같은 것에 더욱 잘 어울리고, 나아가 밖에서 오는 벌레나 짐승, 빛이나 볕, 눈이나 비, 심지어 바람 따위를 막으려는 것이면 무엇에나 두루 쓰인다.

‘뚜껑’은 아가리를 바깥으로 감싸는 모습에서나 밖에 있는 것이 안으로 들어가지 못하도록 지키려는 구실에서나 덮개와 비슷하다. 덮개나 뚜껑이나 모두 본디 하나의 움직씨 ‘둪다’에서 나온 아재비조카 사이기 때문이다. ‘둪다’의 줄기 ‘둪’에 이름꼴 씨끝 ‘엉’이 붙어 뚜벙(뚜껑)이 되고, ‘둪다’가 ‘덮다’로 바뀐 다음 거기서 덮개가 나왔다. 뚜껑은 덮개처럼 무엇에나 두루 쓰이지는 않고 살림살이에서 훨씬 긴요한 솥이나 그릇이나 상자 같은 가구에만 가려서 쓰인다. 그리고 뚜껑은 닫았다가 열어야 한다.

김수업/우리말교육대학원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23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75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736
3282 애정하다, 예쁜 말은 없다 風文 2022.07.28 1213
3281 3인칭은 없다, 문자와 일본정신 風文 2022.07.21 1219
3280 울면서 말하기 風文 2023.03.01 1220
3279 순직 風文 2022.02.01 1221
3278 말의 바깥, 말의 아나키즘 風文 2022.08.28 1221
3277 왕의 화병 風文 2023.11.09 1222
3276 용찬 샘, 용찬 씨 風文 2023.04.26 1228
3275 법과 도덕 風文 2022.01.25 1229
3274 조의금 봉투 風文 2023.11.15 1229
3273 식욕은 당기고, 얼굴은 땅기는 風文 2024.01.04 1230
3272 정보와 담론, 덕담 風文 2022.06.15 1231
3271 말하는 입 風文 2023.01.03 1232
3270 까치발 風文 2023.11.20 1232
3269 ‘다음 소희’에 숨은 문법 風文 2023.02.27 1233
3268 저리다 / 절이다 風文 2023.11.15 1234
3267 몸으로 재다, 윙크와 무시 風文 2022.11.09 1235
3266 예민한 ‘분’ 風文 2023.05.29 1236
3265 야민정음 風文 2022.01.21 1238
3264 뒤치다꺼리 風文 2023.12.29 1238
3263 국가 사전을 다시?(2,3) 주인장 2022.10.21 1239
3262 ‘이고세’와 ‘푸르지오’ 風文 2023.12.30 1240
3261 남과 북의 언어, 뉘앙스 차이 風文 2022.06.10 124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