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31 19:29

으악새

조회 수 984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으악새

오래된 유행가 가운데 가을이 되면 애절하게 가슴을 적시는 “아 아~ 으악새 슬피 우니 가을인가요 …”(‘짝사랑’) 하는 노랫말에서 ‘으악새’가 나온다. 이를 ‘새’(鳥)로 아는 이들이 많은 듯하다. 2절에서 ‘뜸북새’도 슬피 운다 하니 더욱 그럴싸하다. 실제로 정재도님은 그것이 물과 관계가 있으며, 봄에 우리나라에 와 논·강·호숫가에서 살다가 가을에 돌아가며 슬피 우는 ‘왜가리’를 일컫는다고 밝힌 바 있다.

‘짝사랑’에 나오는 ‘으악새’와 상관없이 풀이름 ‘억새’의 경기 사투리로 ‘으악새’가 있고, 억새의 옛말에 ‘어웍새’가 있는 것을 보면, 풀이름과 ‘으악새’의 인연도 깊은 듯하다.

‘새’는 우리가 흔히 동물 이름 ‘○○새’를 떠올리지만, 식물 이름 ‘○○새’도 꽤 있다. 그냥 ‘새’라는 풀도 있고, ‘억새’의 준말이 ‘새’이기도 하다. 또한 볏과식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기도 한데, ‘기름새/ 나래새/ 드렁새/ 들묵새/ 물뚝새/ 쌀새/ 솔새/ 수수새/ 장고새 …들이 있다. ‘방울새’는 새이름이기도 하지만 풀이름이기도 하고, ‘오리새/ 꼬리새/ 호오리새’ 역시 새이름 아닌 풀이름이다.

주변에 19세기 프랑스 폴 베를렌의 시 〈가을의 노래〉 중 “가을날 비올롱의 긴 흐느낌은 ~”에서 ‘비올롱’을 바이올린이 아닌, 세상에서 가장 슬피 우는 새로 잘못 알고 그 감정에 푹 빠져서 불문학을 전공해 교수가 되셨다는 분이 있다. 착각에 힘입은 감동이라도 가끔씩은 개입하는 게 삶의 모습이란 생각이 든다.

임소영/한성대 언어교육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69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16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096
3282 악착같다 바람의종 2007.05.17 10128
3281 여염집 바람의종 2007.05.17 13529
3280 영락없다 바람의종 2007.05.18 10413
3279 주먹구구 바람의종 2007.05.18 7427
3278 주책없다 바람의종 2007.05.22 8551
3277 중뿔나게 바람의종 2007.05.22 11378
3276 고맙습니다 / 김지석 바람의종 2007.05.22 12532
3275 천덕꾸러기 바람의종 2007.05.23 8447
3274 철부지 바람의종 2007.05.23 8176
3273 칠흑 같다 바람의종 2007.05.25 12613
3272 가책 바람의종 2007.05.25 11458
3271 각광 바람의종 2007.05.28 5596
3270 각축 바람의종 2007.05.28 6023
3269 갈등 바람의종 2007.05.29 6157
3268 감로수 바람의종 2007.05.29 7534
3267 갑종 근로소득세 바람의종 2007.05.30 11296
3266 개안 바람의종 2007.05.30 7452
3265 거마비 바람의종 2007.06.01 10122
3264 건달 바람의종 2007.06.01 8549
3263 계간 바람의종 2007.06.02 7075
3262 계륵 바람의종 2007.06.02 5953
3261 고무적 바람의종 2007.06.03 721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