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31 19:25

아시저녁·아시잠

조회 수 7505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아시저녁·아시잠

‘아시잠’은 ‘잠깐 드는 잠’이다. 이런 잠을 이르는 말로 ‘선잠·겉잠·어뜩잠’ 등이 있다.

“철민이 이제는 그만 하고 쉬라고 권했으나 어머니는 초저녁에 아시잠을 한숨 자고 났더니 잠이 오지 않는다고 하면서 그냥 일손을 놓지 않았다.”(변희근 <뜨거운 심장>)
“어뜩잠이 들어 꿈속을 헤매다가 깨여난 명옥은 눈을 번쩍 뜨고서 달빛이 환히 비쳐드는 방안을 어수선한 심정으로 두리두리 살폈다.”(장편소설 <태양의 아들>)

‘아시’는 남북 두루 쓰는 토박이말로 ‘처음’을 뜻한다. ‘애’로도 쓰는데, 둘 다 ‘처음’을 뜻하는 ‘아?’에서 왔다. ‘아시’는 ‘애초’와 ‘애벌’로 구분하여 풀이하기도 하나, 애벌은 ‘애+벌(횟수)’ 짜임으로 ‘첫 번’이란 뜻이고, 애초는 ‘애+초’(-初) 짜임으로 ‘맨 처음’을 뜻하므로, ‘처음’이란 풀이로 아우를 수 있겠다.

‘아시빨래·애빨래’는 ‘애벌빨래, 처음 하는 빨래’다. ‘아시갈이·애갈이’는 ‘논밭을 처음 가는 것’, ‘아시논·애논’은 ‘처음 김을 매는 논’이다. ‘아시당초·애당초’는 ‘당초’와 비슷한 말이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애당초’를 ‘애초를 강조하여 이르는 말’로 풀이했는데, ‘당초를 강조하는 말’로 보는 것이 옳겠다. ‘애초’에 ‘당(當)’이 곁들인 게 아니라 ‘당초’(當初)에 ‘애’가 결합했기 때문이다.

북녘말 ‘아시저녁’은 초저녁이고, ‘애저녁’으로도 쓴다. 이 ‘아시’는 ‘초가을·초어스름·초이튿날’ 등의 ‘초’ 자리에 쓸 수도 있겠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48042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194481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09403
    read more
  4. 이랑과 고랑

    Date2008.02.05 By바람의종 Views7294
    Read More
  5. 돌서덕

    Date2008.02.05 By바람의종 Views9517
    Read More
  6. 게르만 말겨레

    Date2008.02.05 By바람의종 Views8476
    Read More
  7. 노루귀

    Date2008.02.04 By바람의종 Views6555
    Read More
  8. 마개와 뚜껑

    Date2008.02.04 By바람의종 Views8214
    Read More
  9. 가닥덕대

    Date2008.02.03 By바람의종 Views7374
    Read More
  10. 라틴말의 후예

    Date2008.02.03 By바람의종 Views6910
    Read More
  11. 물과 땅이름

    Date2008.02.03 By바람의종 Views8000
    Read More
  12. 뚱딴지

    Date2008.02.02 By바람의종 Views8109
    Read More
  13. 괴다와 사랑하다

    Date2008.02.02 By바람의종 Views9743
    Read More
  14. 아프리카의 언어들

    Date2008.02.02 By바람의종 Views8899
    Read More
  15. ‘돌미’와 ‘살미’

    Date2008.02.01 By바람의종 Views8027
    Read More
  16. 올림과 드림

    Date2008.02.01 By바람의종 Views7466
    Read More
  17. 무릎노리

    Date2008.02.01 By바람의종 Views8743
    Read More
  18. 아랍말과 히브리말

    Date2008.02.01 By바람의종 Views7427
    Read More
  19. 별내와 비달홀

    Date2008.02.01 By바람의종 Views8750
    Read More
  20. 으악새

    Date2008.01.31 By바람의종 Views9824
    Read More
  21. 까닭과 때문

    Date2008.01.31 By바람의종 Views6934
    Read More
  22. 아시저녁·아시잠

    Date2008.01.31 By바람의종 Views7505
    Read More
  23. 중앙아시아 언어들

    Date2008.01.30 By바람의종 Views9238
    Read More
  24. 한뫼-노고산

    Date2008.01.30 By바람의종 Views10287
    Read More
  25. 개불알꽃

    Date2008.01.30 By바람의종 Views9177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