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28 15:02

마니산과 머리

조회 수 8760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마니산과 머리

신라의 시조 혁거세는 ‘거서간’이었다. ‘거서간’의 ‘간’은 ‘건길지’의 ‘건’과 마찬가지로 임금을 뜻하는 토박이말이다. 신라 제2대 임금인 남해는 ‘차차웅’이었으며, 3대 임금인 유리부터는 ‘니사금’(임금)이라 불렸다. 이러한 왕의 칭호가 눌지에 이르러서는 ‘마립간’이라 불린다.

‘마립간’을 두고 “김대문이 말하기를 방언의 말뚝(궐)이요, 궐은 사람의 지위에 따라 설치하는데, 왕의 궐은 중심에 배열하고, 신하의 궐은 아래에 배열한다”라는 <삼국사기>의 기록이 남아 있다. 그렇지만 ‘마립간’이 ‘말뚝’과 관련된다는 김대문의 주장은 토박이말 ‘머리’와 한자의 ‘말뚝’을 연상한 표현일 뿐이다. 왜냐하면 ‘마립간’의 ‘마립’은 ‘머리’를 뜻하는 토박이말인 까닭이다.

강화도 ‘마니산’은 본래 ‘마리산’이었다. ‘마리’는 머리를 뜻하는 토박이말로, 모음조화가 철저하게 지켜졌던 시대의 표기다. 이 말은 ‘마루’, ‘머리’로 소리가 조금 바뀐다. 한자 ‘宗’을 ‘마루 종’이라 읽는 까닭도 여기에 있다. ‘마리’의 음이 땅이름에서 ‘마라’나 ‘마이’ 또는 ‘마니’로 변한 경우는 진안의 ‘마이산’, 제주의 ‘마라도’가 있다. 비록 ‘마이산’(馬耳山)이나 ‘마라도’(滅島)에 들어 있는 한자의 뜻에 따라 ‘말의 귀를 닮은 산’이나 ‘파도에 갈리는 섬’처럼 풀이하기도 하나 두루 주변보다 두드러진 산과 섬이라고 할 수 있으니 ‘머리’에 해당한다. 현지 사람들이나 땅이름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마니산 아닌 마리산으로 부르자는 움직임도 있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01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62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589
3282 법과 도덕 風文 2022.01.25 1309
3281 마그나 카르타 風文 2022.05.10 1310
3280 꼬까울새 / 해독, 치유 風文 2020.05.25 1311
3279 ‘선진화’의 길 風文 2021.10.15 1311
3278 거짓말과 개소리, 혼잣말의 비밀 風文 2022.11.30 1311
3277 말의 미혹 風文 2021.10.30 1312
3276 정당의 이름 風文 2022.01.26 1313
3275 남과 북의 언어, 뉘앙스 차이 風文 2022.06.10 1313
3274 일본이 한글 통일?, 타인을 중심에 風文 2022.07.22 1313
3273 예민한 ‘분’ 風文 2023.05.29 1315
3272 분단 중독증, 잡것의 가치 風文 2022.06.09 1316
3271 교정, 교열 / 전공의 風文 2020.05.27 1317
3270 저리다 / 절이다 風文 2023.11.15 1319
3269 개념의 차이, 문화어 風文 2022.06.13 1321
3268 난민과 탈북자 風文 2021.10.28 1323
3267 매뉴얼 / 동통 風文 2020.05.30 1324
3266 날씨와 인사 風文 2022.05.23 1324
3265 비계획적 방출, 주접 댓글 風文 2022.09.08 1324
3264 공공언어의 주인, 언어학자는 빠져! 風文 2022.07.27 1326
3263 외래어의 된소리 風文 2022.01.28 1327
3262 세계어 배우기 風文 2022.05.11 1327
3261 '김'의 예언 風文 2023.04.13 132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