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26 12:40

자욱길

조회 수 11625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자욱길

늦여름 윗대 어른들 뫼터 벌초를 할 때 사람 발길이 드문 산길을 오르다 보면 길을 찾기 어려운 경우가 적잖다. 사람이 다니지 않아 웃자란 풀이 길을 가려 버린 까닭이다. 이런 길이 ‘자욱길’이다.

“나뭇군의 자욱길을 좇아서 산을 타고 골을 넘어 나가다가 나중에 길을 잃고서 헤매는 중에 해가 저물었다.”(홍명희, <임꺽정>)

자욱은 ‘발자국’의 ‘자국’과 같은 말이다. 자욱길은 표준어 규정을 따른다면 ‘자국길’이라 할 수 있겠다. 발자욱과 발자국은 근대 국어에서 모두 쓰이던 말인데, 1957년 발행된 한글학회 <큰사전>에서 ‘자욱, 발자욱’을 비표준어로 처리한 뒤, 지금은 남과 북의 차이로 벌어졌다. ‘자욱, 발자욱’을 남녘에서는 표준어로 인정하지 않지만, 북녘에서는 ‘자국, 발자국’의 동의어로 인정하고 있다.

북녘에서 ‘자욱, 발자욱’을 수용한 것은 아마도 현실적으로 많이 쓰인다는 점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남녘에서도 ‘발자욱’은 현실에서 ‘발자국’과 함께 쓰이고 있다. 이 점에서 ‘자욱’과 ‘발자욱’에 대해 다시 생각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자욱, 자국과 관련이 있는 낱말로 ‘자국걸음, 자국눈, 자국물, 자욱포수’ 등이 있다. 자국걸음은 ‘조심스럽게 디디는 걸음’, 자국눈은 ‘발자국이 겨우 생길 만큼 조금 내린 눈’, 자국물은 ‘발자국에 괸 물’이나 ‘아주 적은 물’, 자욱포수는 ‘동물의 발자국을 잘 쫓는 포수’를 일컫는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77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26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196
3304 안시성과 아골관 바람의종 2008.01.19 6722
3303 말차례 바람의종 2008.01.20 488283
3302 부리다와 시키다 바람의종 2008.01.20 8307
3301 달맞이꽃 바람의종 2008.01.20 6330
3300 태백산과 아사달 바람의종 2008.01.21 7570
3299 인사말 바람의종 2008.01.22 8880
3298 소젖 바람의종 2008.01.22 6398
3297 너도밤나무 바람의종 2008.01.22 6752
3296 황새울과 큰새 바람의종 2008.01.24 11157
3295 사촌 바람의종 2008.01.24 10295
3294 이마귀 바람의종 2008.01.24 9211
3293 차례와 뜨레 바람의종 2008.01.25 8135
3292 개양귀비 바람의종 2008.01.25 7342
3291 듬실과 버드실 바람의종 2008.01.25 7636
3290 형제자매 바람의종 2008.01.26 11369
» 자욱길 바람의종 2008.01.26 11625
3288 뽑다와 캐다 바람의종 2008.01.26 8262
3287 개차산과 죽산 바람의종 2008.01.27 8920
3286 달개비 바람의종 2008.01.27 9235
3285 삼촌 바람의종 2008.01.27 8075
3284 깍지다리 바람의종 2008.01.28 7100
3283 말꽃과 삶꽃 바람의종 2008.01.28 692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