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22 11:53

너도밤나무

조회 수 6732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너도밤나무

요새는 비슷한 동식물을 알기 쉽게 설명할 때 흔히 ‘사촌’을 끌어다 쓴다. 예컨대 문어와 낙지는 사촌이고, 가자미는 넙치와 사촌쯤 된다는 식으로 …. 그런데 풀꽃이름에서는 이 ‘사촌’ 대신 ‘아재비’가 쓰이거나 ‘너도/ 나도’가 쓰였다.

‘아재비’는 ‘아저씨’처럼 아버지와 같은 항렬의 형제를 일컫는 오래 된 말로, 풀꽃이름에서는 대충 비슷한 모습일 때 붙인다. ‘미나리아재비, 둥굴레아재비, 골풀아재비, 억새아재비 …’들이 있다.

‘너도밤나무’는 울릉도 바닷가가 원산지이며, 성인봉 근처 숲을 이룬 군락이 천연기념물 50호로 지정되었다. 잎과 열매가 전체적으로 밤나무와 닮아 먼 친척뻘 정도 되는데, 그래서 ‘너도 밤나무다’라는 뜻으로 지은 이름이다. ‘너도바람꽃, 너도양지꽃, 너도방동사니, 너도고랭이 …’들도 마찬가지다.

이에 견줘 ‘나도밤나무’는 언뜻 보아 잎이 밤나무와 닮았을 뿐, 전혀 다르다. 그런데도 ‘나도 밤나무요’라고 우기고 있는 것이다. ‘나도’가 붙은 이름으로는 ‘나도송이풀, 나도냉이, 나도박달, 나도잔디 …’들이 있다.

‘너도’는 다른 사람이 인정해 주는 것이고, ‘나도’는 제 스스로 나서는 것이라고 볼 때, 객관적으로는 ‘너도’가 원형에 더 가깝다고 볼 수 있겠다. ‘너도/ 나도’가 붙은 것은 ‘주어+술어’ 짜임으로서, 이런 얼개로는 낱말을 만들지 않는 것이 보통인데, 이를 깨뜨린 이름이어서 특별하게 느껴지고 더 기억에 남는 듯하다.

임소영/한성대 언어교육원 책임연구원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47324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193873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08815
    read more
  4. 날래다와 빠르다

    Date2008.01.29 By바람의종 Views7317
    Read More
  5. 비갈망

    Date2008.01.29 By바람의종 Views8447
    Read More
  6. 색깔이름

    Date2008.01.29 By바람의종 Views21787
    Read More
  7. 마니산과 머리

    Date2008.01.28 By바람의종 Views8652
    Read More
  8. 말꽃과 삶꽃

    Date2008.01.28 By바람의종 Views6912
    Read More
  9. 깍지다리

    Date2008.01.28 By바람의종 Views7075
    Read More
  10. 삼촌

    Date2008.01.27 By바람의종 Views8040
    Read More
  11. 달개비

    Date2008.01.27 By바람의종 Views9214
    Read More
  12. 개차산과 죽산

    Date2008.01.27 By바람의종 Views8897
    Read More
  13. 뽑다와 캐다

    Date2008.01.26 By바람의종 Views8254
    Read More
  14. 자욱길

    Date2008.01.26 By바람의종 Views11610
    Read More
  15. 형제자매

    Date2008.01.26 By바람의종 Views11325
    Read More
  16. 듬실과 버드실

    Date2008.01.25 By바람의종 Views7610
    Read More
  17. 개양귀비

    Date2008.01.25 By바람의종 Views7315
    Read More
  18. 차례와 뜨레

    Date2008.01.25 By바람의종 Views8112
    Read More
  19. 이마귀

    Date2008.01.24 By바람의종 Views9185
    Read More
  20. 사촌

    Date2008.01.24 By바람의종 Views10283
    Read More
  21. 황새울과 큰새

    Date2008.01.24 By바람의종 Views11144
    Read More
  22. 너도밤나무

    Date2008.01.22 By바람의종 Views6732
    Read More
  23. 소젖

    Date2008.01.22 By바람의종 Views6379
    Read More
  24. 인사말

    Date2008.01.22 By바람의종 Views8875
    Read More
  25. 태백산과 아사달

    Date2008.01.21 By바람의종 Views7531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