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15 04:51

쓸어올리다

조회 수 8706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쓸어올리다

‘머리’와 ‘머리털’과 ‘머리카락’은 본디 뜻이 다르다. ‘머리’는 사람이나 동물의 목 위 부분을 가리키는 말로, 얼굴과 머리털이 있는 부분을 아울러 이른다. ‘머리털’은 ‘머리에 난 털’, ‘머리카락’은 ‘머리털의 낱개’를 이른다. 현대어에서 이런 구분이 넘나들면서 ‘머리털’을 가리키는 말로 ‘머리’와 ‘머리카락’도 함께 쓰인다. 최근에는 ‘머리털’보다 ‘머리’와 ‘머리카락’을 더 많이 쓰는 추세다. 곧 ‘머리털 자른다’가 아닌 ‘머리 자른다’, ‘머리카락 자른다’로 쓰는 것이다. ‘머리털’과 더불어 쓰이면서 큰사전에 오르지 않은 낱말로 ‘쓸어올리다’가 있다.

“두 사람의 근본적인 사랑을 헤살 놓지는 못할 것이라고 하면서 윤태는 남희의 이마를 가리고 있는 머리털을 쓸어올려 주었다.”(유주현 〈하오의 연가〉)
“습관적인 몸짓인 듯 정하섭은 흘러내리지도 않은 머리칼을 쓸어올렸다.”(조정래 〈태백산맥〉)
“묘옥은 흐트러진 머리를 쓸어올리면서 억지로 웃어 보였다.”(황석영 〈장길산〉)

‘쓸어올리다’는 머리털 따위를 위로 쓸면서 만진다는 뜻으로 쓰인다. 용례를 살펴보면 ‘머리털을 쓸어올리다’보다 ‘머리를 쓸어올리다, 머리카락(머리칼)을 쓸어올리다’라는 표현이 훨씬 많이 나타난다. ‘털’이 비속하게 느껴지는 까닭, 머리카락이 털이 지닌 작은 크기·길이를 벗어난 것으로 여기는 까닭일 수도 있겠다.

한용운/겨레말큰사전 편찬부실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26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71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649
3326 통틀어 바람의종 2007.03.30 7284
3325 퉁맞다 바람의종 2007.03.30 8069
3324 푼돈 바람의종 2007.03.31 8709
3323 바람의종 2007.03.31 8360
3322 하루살이 바람의종 2007.04.01 9519
3321 하염없다 바람의종 2007.04.01 10878
3320 한눈팔다 바람의종 2007.04.02 12113
3319 한 손 바람의종 2007.04.02 10817
3318 한참동안 바람의종 2007.04.23 9054
3317 한통속 바람의종 2007.04.23 6450
3316 할망구 바람의종 2007.04.24 11181
3315 핫바지 바람의종 2007.04.24 8233
3314 행길 바람의종 2007.04.25 11271
3313 허풍선이 바람의종 2007.04.25 7860
3312 불구하고?/최인호 바람의종 2007.04.25 10489
3311 ‘경우’ 덜쓰기/최인호 바람의종 2007.04.25 6938
3310 관해/대하여/최인호 바람의종 2007.04.25 6042
3309 호래자식(후레자식) 바람의종 2007.04.27 14652
3308 홀몸 바람의종 2007.04.27 9502
3307 가관이다 바람의종 2007.04.28 12760
3306 가차없다 바람의종 2007.04.28 10535
3305 위하여/최인호 바람의종 2007.04.28 701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