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15 04:51

쓸어올리다

조회 수 8694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쓸어올리다

‘머리’와 ‘머리털’과 ‘머리카락’은 본디 뜻이 다르다. ‘머리’는 사람이나 동물의 목 위 부분을 가리키는 말로, 얼굴과 머리털이 있는 부분을 아울러 이른다. ‘머리털’은 ‘머리에 난 털’, ‘머리카락’은 ‘머리털의 낱개’를 이른다. 현대어에서 이런 구분이 넘나들면서 ‘머리털’을 가리키는 말로 ‘머리’와 ‘머리카락’도 함께 쓰인다. 최근에는 ‘머리털’보다 ‘머리’와 ‘머리카락’을 더 많이 쓰는 추세다. 곧 ‘머리털 자른다’가 아닌 ‘머리 자른다’, ‘머리카락 자른다’로 쓰는 것이다. ‘머리털’과 더불어 쓰이면서 큰사전에 오르지 않은 낱말로 ‘쓸어올리다’가 있다.

“두 사람의 근본적인 사랑을 헤살 놓지는 못할 것이라고 하면서 윤태는 남희의 이마를 가리고 있는 머리털을 쓸어올려 주었다.”(유주현 〈하오의 연가〉)
“습관적인 몸짓인 듯 정하섭은 흘러내리지도 않은 머리칼을 쓸어올렸다.”(조정래 〈태백산맥〉)
“묘옥은 흐트러진 머리를 쓸어올리면서 억지로 웃어 보였다.”(황석영 〈장길산〉)

‘쓸어올리다’는 머리털 따위를 위로 쓸면서 만진다는 뜻으로 쓰인다. 용례를 살펴보면 ‘머리털을 쓸어올리다’보다 ‘머리를 쓸어올리다, 머리카락(머리칼)을 쓸어올리다’라는 표현이 훨씬 많이 나타난다. ‘털’이 비속하게 느껴지는 까닭, 머리카락이 털이 지닌 작은 크기·길이를 벗어난 것으로 여기는 까닭일 수도 있겠다.

한용운/겨레말큰사전 편찬부실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12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54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491
3326 댄싱 나인 시즌 스리 風文 2023.04.21 1038
3325 막냇동생 風文 2023.04.20 969
3324 내연녀와 동거인 風文 2023.04.19 1102
3323 1.25배속 듣기에 사라진 것들 風文 2023.04.18 1291
3322 멋지다 연진아, 멋지다 루카셴코 風文 2023.04.17 1351
3321 어쩌다 보니 風文 2023.04.14 1406
3320 '김'의 예언 風文 2023.04.13 1109
3319 “김” 風文 2023.03.06 1546
3318 울면서 말하기 風文 2023.03.01 1162
3317 ‘다음 소희’에 숨은 문법 風文 2023.02.27 1191
3316 남친과 남사친 風文 2023.02.13 1216
3315 국가의 목소리 風文 2023.02.06 1433
3314 말의 세대 차 風文 2023.02.01 1142
3313 ‘통일’의 반대말 風文 2023.01.16 1616
3312 헛스윙, 헛웃음, 헛기침의 쓸모 風文 2023.01.09 1376
3311 '바치다'와 '받치다' file 風文 2023.01.04 1236
3310 말하는 입 風文 2023.01.03 1202
3309 ○○노조 風文 2022.12.26 1229
3308 구경꾼의 말 風文 2022.12.19 1215
3307 맞춤법·표준어 제정, 국가 독점?…오늘도 ‘손사래’ 風文 2022.12.12 1648
3306 평어 쓰기, 그 후 / 위협하는 기록 風文 2022.12.07 1805
3305 ‘웃기고 있네’와 ‘웃기고 자빠졌네’, ‘-도’와 나머지 風文 2022.12.06 129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