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10 01:28

말소리의 억양

조회 수 6945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말소리의 억양

우리는 낯선 사람이 하는 말을 듣고 그 사람의 고장을 어느 정도 짐작할 수 있다. 독특하게 쓰는 낱말을 통해서도 알 수 있지만, 대개는 말씨에 나타나는 억양으로 알 수 있다. 억양이란 문장에 얹히는 소리의 높낮이를 말하는데 억양은 그 말의 특징을 구별해 주는 구실을 한다. 억양을 통해 사투리를 분간할 수 있는 것은 우리말뿐만 아니라 여러 말에서도 마찬가지다. 영어에서 영국영어, 미국영어를 분간하고, 미국영어 가운데서도 인종간의 언어 차이를 분간하는 데 억양이 그 몫을 한다.

그런데 억양은 문장의 문법 기능을 구별하는 데도 쓰인다. 우리말에서 보면, 똑같은 문장을 두고 끝 억양을 올리느냐 내리느냐에 따라 문법 기능이 달라진다. ‘이 책 읽었어요’를 끝을 내려 말하면 ‘읽었다’는 서술의 뜻이고, 끝을 올려 말하면 ‘읽었느냐’란 의문의 뜻이다. 영어에서도 ‘You are reading the book’을 올려 발음하면 묻는 문장이 된다. 대부분 언어에서 서술문은 문장 끝에 내림 억양이 놓이고 의문문은 문장 끝에 올림 억양이 놓인다.

문장이 아니더라도 한 낱말로 된 말도막도 억양 따라 뜻이 구별되는 경우가 많다. 영어 ‘What’은, 억양을 올리면 앞에 한 말을 되풀이해 달라는 요구이며, 내리면 내가 잘 듣고 있다는 뜻이고, 높은소리로 말하면 절망과 불신을 나타낸다. 이처럼 억양은 모든 언어에서 말씨의 특징을 나타내기도 하고, 문법적 기능을 구별해 주기도 한다.

권재일/서울대 교수·언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75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40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278
3348 드라비다말 바람의종 2008.01.02 7009
3347 복잡다난·미묘 바람의종 2008.01.03 11172
3346 움과 싹 바람의종 2008.01.03 8658
3345 벌레 바람의종 2008.01.03 7533
3344 경제 새말 바람의종 2008.01.04 7535
3343 자음의 짜임새 바람의종 2008.01.04 7150
3342 제맛 바람의종 2008.01.05 7897
3341 할말과 못할말 바람의종 2008.01.05 7704
3340 호박고지 바람의종 2008.01.05 9376
3339 모음의 짜임새 바람의종 2008.01.06 5892
3338 노무족 바람의종 2008.01.06 6407
3337 ‘막하다’ 바람의종 2008.01.06 8306
3336 참말과 거짓말 바람의종 2008.01.07 8944
3335 겨울 바람의종 2008.01.07 8409
3334 ‘오빠 부대’ 바람의종 2008.01.07 7633
3333 말소리의 높낮이 바람의종 2008.01.08 7291
3332 헛이름 바람의종 2008.01.08 10860
3331 먹거리와 먹을거리 바람의종 2008.01.08 8483
3330 쇠죽 바람의종 2008.01.10 8831
» 말소리의 억양 바람의종 2008.01.10 6945
3328 말다듬기 바람의종 2008.01.10 6547
3327 떨려나다 바람의종 2008.01.11 901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