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06 03:57

모음의 짜임새

조회 수 5892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모음의 짜임새

언어학자 로만 야콥슨은 어린이가 말을 배울 때 가장 먼저 습득하는 모음은 [a]라고 한다. 그 다음 모음은 [u]와 [i]라고 한다. 그런데 실어증 환자가 말을 잃어가는 단계에서 맨 마지막에 잃어 버리는 것이 [u]와 [i], 그리고 [a]라고 한다. 여기서, 가장 기본이 되는 모음은 바로 [a], [u], [i]라 할 수 있다.

필리핀은 영어를 공용어로 쓰지만, 고유한 말은 타갈로그말이다. 이 말에는 모음이 세 개다. 바로 [a], [u], [i]이다. 모음 수가 적다고 온전하지 못한 말이라고는 할 수 없다. 왜냐하면 모음 대신에 다른 요소가 분화되어 이를 보충해 주기 때문이다.

모음이 다섯인 말에는 이웃 일본말을 비롯해 스페인말·러시아말이 있다. [a], [u], [i] 셋에다 [e]와 [o]가 더 있다. 이렇게 몇 개씩 더해 가면 언어에 따라 모음의 짜임새가 다양해진다. 이탈리아말과 독일말은 짜임새는 다르지만 모음이 일곱이고, 터키말은 여덟, 프랑스말은 열하나다.

그럼 우리말은 모음이 몇이나 될까? 표준어 규정에서 정한 표준발음법에는 열 개를 든다. 그런데 지역과 나이에 따라 머릿속에 갈무리된 모음의 수는 각각 다르다. 나이 따라 [에]와 [애]를 구별하지 않기도 하고, 지역 따라 [어]와 [으]를 하나의 소리로 인식하기도 한다. [위]와 [외]를 겹모음으로 발음하기도 한다. 내 머릿속에는 모음이 몇 개나 들어 있을까?

권재일/서울대 교수·언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62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32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184
3348 산막이 옛길 風文 2023.11.09 1321
3347 속담 순화, 파격과 상식 風文 2022.06.08 1322
3346 어떤 반성문 風文 2023.12.20 1322
3345 경평 축구, 말과 동작 風文 2022.06.01 1323
3344 물타기 어휘, 개념 경쟁 風文 2022.06.26 1325
3343 잃어버린 말 찾기, ‘영끌’과 ‘갈아넣다’ 風文 2022.08.30 1326
3342 “이 와중에 참석해 주신 내외빈께” 風文 2023.12.30 1328
3341 연말용 상투어 風文 2022.01.25 1329
3340 교정, 교열 / 전공의 風文 2020.05.27 1330
3339 날아다니는 돼지, 한글날 몽상 風文 2022.07.26 1330
3338 인과와 편향, 같잖다 風文 2022.10.10 1332
3337 군색한, 궁색한 風文 2023.11.21 1332
3336 영어의 힘 風文 2022.05.12 1335
3335 말의 세대 차 風文 2023.02.01 1335
3334 고백하는 국가, 말하기의 순서 風文 2022.08.05 1337
3333 꼬까울새 / 해독, 치유 風文 2020.05.25 1342
3332 소통과 삐딱함 風文 2021.10.30 1342
3331 왜 벌써 절망합니까 - 벤처대부는 나의 소망 風文 2022.05.26 1342
3330 역사와 욕망 風文 2022.02.11 1344
3329 북혐 프레임, 인사시키기 風文 2022.05.30 1348
3328 시간에 쫓기다, 차별금지법과 말 風文 2022.09.05 1349
3327 국어와 국립국어원 / 왜 風文 2022.08.29 135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