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2.26 15:18

값과 삯

조회 수 5815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값과 삯

‘값’은 남 것을 내 것으로 만들 적에 내놓는 값어치다. 거꾸로, 내가 가진 것을 남에게 주고 받아내는 값어치기도 하다. 값을 받고 팔거나 값을 치르고 사거나 하는 노릇이 잦아지면서 때와 곳을 마련해 놓고 사람들이 모여서 팔고 샀다. 그 때가 장날이고, 그 곳이 장터다. 닷새 만에 열리는 장날에는 팔려는 것을 내놓는 장수와 사려는 것을 찾는 손님들로 장터가 시끌벅적하다. 값을 올리려는 장수와 값을 낮추려는 손님이 흥정을 할 수 있도록 미리 내놓는 값의 말미가 ‘금’이다. 금을 미리 내놓는 노릇을 ‘금을 띄운다’ 하고, 그렇게 띄워 놓은 금이 ‘뜬금’이다. 뜬금이 있어야 흥정을 거쳐서 값을 매듭지어 거래를 하는데, 금도 띄우지 않고 거래를 매듭지으려 들면 ‘뜬금없는’ 짓이 된다.

‘삯’은 내 것으로 만들며 치르는 ‘값’과는 달리 남 것을 얼마간 빌려 쓰는 데 내놓는 값어치다. ‘찻삯’이나 ‘뱃삯’은 차나 배를 타는 데 치르는 값어치, ‘찻값’이나 ‘뱃값’은 차나 배를 사는 데 치르는 값어치다. 삯에서 종요로운 것은 ‘품삯’이다. ‘품’이란 사람이 지닌 힘과 슬기의 값어치고, 그것을 빌려 쓰고 내는 것이 ‘품삯’이다. 품은 빌려주고 삯을 받기도 하지만 되돌려 받는 ‘품앗이’가 본디 제격이었다. 가진 것이 없어서 품을 팔아 먹고사는 사람을 ‘품팔이’라 하는데, 품을 빌리지 않고 사려면 ‘품삯’이 아니라 ‘품값’을 치러야 한다. 요즘 세상은 거의 모든 사람이 품을 팔아야 살게 되어서 ‘품값’ 때문에 세상이 온통 시끄럽다.

김수업/우리말교육대학원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97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44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353
3369 사리 風磬 2006.12.26 8521
3368 살림 風磬 2006.12.26 6273
3367 삼박하다 風磬 2006.12.26 13594
3366 삼삼하다 風磬 2006.12.29 11145
3365 삿대질 風磬 2006.12.29 6961
3364 샅샅이 風磬 2006.12.29 6438
3363 샌님 風磬 2006.12.29 10610
3362 서낭당 風磬 2006.12.29 7895
3361 서울 風磬 2007.01.19 7411
3360 선비 風磬 2007.01.19 10134
3359 스스럼없다 風磬 2007.01.19 12897
3358 시달리다 風磬 2007.01.19 8626
3357 시답잖다 風磬 2007.01.19 12336
3356 아니꼽다 風磬 2007.01.19 14881
3355 안갚음 風磬 2007.01.19 8816
3354 애물단지 風磬 2007.01.19 8398
3353 애벌빨래 風磬 2007.01.19 10796
3352 억수 風磬 2007.01.19 8699
3351 엔간하다 風磬 2007.01.19 9734
3350 오랑캐 風磬 2007.01.19 9120
3349 오사바사하다 風磬 2007.01.19 1408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