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2.16 03:52

새말의 정착

조회 수 7505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새말의 정착

어떤 말이 처음 만들어졌을 때 그게 얼마나 오래갈지 예측하기 어렵다. 눈길을 끌 기사 제목을 달고자 만든 새말이 그때만 쓰이고 사라질 수도 있고, 누리그물(인터넷)에서 새로 만들어 쓴 말이 누리꾼 사이에 잠깐 유행하다 자취를 감출 수도 있다. 낱낱의 새말이 널리 퍼져 정착하는지, 잠시 쓰이다 사라지는지를 파악하려면 그런 말의 쓰임을 꾸준히 조사해야 한다. 2004년에 조사된 새말 중에 2005년에 가장 많이 쓰인 것으로 나타난 것은 ‘신행정수도’였다. 그해 10월 헌법재판소의 신행정수도 특별법 위헌 결정부터 2005년 11월 행정도시 특별법 합헌 결정에 이르기까지 꾸준히 국민의 관심사였음을 드러내는 결과다. 다음으로는 ‘네티즌’을 바꿔 만든 ‘누리꾼’이 많이 쓰였다. 처음 생겼을 때는 ‘네티즌’보다 세가 약했으나 언론과 인터넷 사용자들이 의식적으로 많이 쓰면서 자리를 잡는다. 3위는 경제 분야 말 ‘종합 부동산세’였다. 줄여서 ‘종부세’도 많이 쓰이는데, 관련 법이 적용되는 까닭에 앞으로도 활발하게 쓰일 터이다.

2004년에 조사된 새말들이 2005년에도 꾸준히 쓰이는 것으로 나타난 말은 54%였다. 절반 정도가 지속적으로 쓰이고 나머지는 1년 사이에 세력을 잃은 것이다. 2003년 새말은 52%, 2002년 새말은 45% 정도가 2005년에도 쓰이는 것으로 나타난다. 짧게는 5년 길게는 10년 넘게 꾸준히 쓰임이 조사되는 새말은 우리말의 어휘 집합 안에 정착했다고 볼 수 있다.

김한샘/국립국어원 연구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22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83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743
444 지도 편달 바람의종 2007.12.22 35926
443 미꾸라지 바람의종 2007.12.21 7431
442 사람 바람의종 2007.12.21 6780
441 중화사상 바람의종 2007.12.21 9498
440 조족지혈 바람의종 2007.12.21 12562
439 조강지처 바람의종 2007.12.21 10433
438 개구지다 바람의종 2007.12.20 8628
437 만주말 지킴이 스쥔광 바람의종 2007.12.20 7483
436 정정당당 바람의종 2007.12.20 8716
435 제왕절개 바람의종 2007.12.20 11470
434 도우미 바람의종 2007.12.18 8213
433 고구마 바람의종 2007.12.18 8855
432 전광석화 바람의종 2007.12.18 6490
431 자화자찬 바람의종 2007.12.18 8615
430 가시버시 바람의종 2007.12.17 7578
429 궁시렁궁시렁 바람의종 2007.12.17 7029
428 일사불란 바람의종 2007.12.17 8066
427 이판사판 바람의종 2007.12.17 8510
426 토족말 지킴이 챙고츠 바람의종 2007.12.16 7059
» 새말의 정착 바람의종 2007.12.16 7505
424 언어도단 바람의종 2007.12.16 10331
423 오합지졸 바람의종 2007.12.16 1060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