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2.15 03:05

옮김과 뒤침

조회 수 8136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옮김과 뒤침

남의 글을 우리말로 바꾸는 일을 요즘 흔히 ‘옮김’이라 한다. 조선 시대에는 ‘언해’ 또는 ‘번역’이라 했다. 아직도 ‘번역’ 또는 ‘역’이라 적는 사람이 있는데, 일본 사람들이 그렇게 쓰니까 본뜨는 것이 아닌가 싶다.

‘언해’든 ‘번역’이든 ‘역’이든 이것들은 모두 우리말이 아니지만 ‘옮김’은 우리말이라 훨씬 낫다고 본다. 그러나 ‘옮김’은 무엇을 있는 자리에서 다른 자리로 자리바꿈하는 것이다. 거기서 ‘발걸음을 옮기다’, ‘직장을 옮기다’, ‘말을 옮기다’, ‘모종을 옮기다’, ‘눈길을 옮기다’, ‘실천에 옮기다’ 같은 데로 뜻이 넓혀지지만 언제나 무엇을 ‘있는 그대로’ 자리바꿈하는 뜻으로만 써야 한다.

남의 글을 우리말로 바꾸는 것을 우리는 ‘뒤침’이라 했다. 글말로는 ‘언해·번역’이라 썼지만 입말로는 ‘뒤침’이었다고 본다. ‘뒤치다’를 국어사전에는 “자빠진 것을 엎어놓거나, 엎어진 것을 젖혀놓다” 했으나 그것은 본디 뜻이고, 그런 본디 뜻에서 “하나의 말을 또 다른 말로 바꾸어놓는 것”으로 넓혀졌다. 어릴 적에 나는 서당 선생님이 “어디 한 번 읽어 봐” 하시고, 또 “그럼 어디 뒤쳐 봐” 하시는 말씀을 늘 들었다. ‘뒤쳐 보라’는 말씀은 가끔 ‘새겨 보라’고도 하셨는데, ‘새기라’는 말씀은 속살을 알아들을 만하게 풀이하라는 쪽으로 기울어져 ‘뒤치라’는 것과 조금은 뜻이 달랐다. 어린 시절 나는 ‘읽다’와 더불어 ‘뒤치다’, ‘새기다’, ‘풀이하다’ 같은 낱말을 서로 다른 뜻으로 쓰면서 자랐다.

김수업/우리말교육대학원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30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92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835
444 지도 편달 바람의종 2007.12.22 35926
443 미꾸라지 바람의종 2007.12.21 7431
442 사람 바람의종 2007.12.21 6780
441 중화사상 바람의종 2007.12.21 9499
440 조족지혈 바람의종 2007.12.21 12562
439 조강지처 바람의종 2007.12.21 10439
438 개구지다 바람의종 2007.12.20 8628
437 만주말 지킴이 스쥔광 바람의종 2007.12.20 7483
436 정정당당 바람의종 2007.12.20 8716
435 제왕절개 바람의종 2007.12.20 11475
434 도우미 바람의종 2007.12.18 8213
433 고구마 바람의종 2007.12.18 8859
432 전광석화 바람의종 2007.12.18 6490
431 자화자찬 바람의종 2007.12.18 8615
430 가시버시 바람의종 2007.12.17 7581
429 궁시렁궁시렁 바람의종 2007.12.17 7029
428 일사불란 바람의종 2007.12.17 8066
427 이판사판 바람의종 2007.12.17 8510
426 토족말 지킴이 챙고츠 바람의종 2007.12.16 7064
425 새말의 정착 바람의종 2007.12.16 7505
424 언어도단 바람의종 2007.12.16 10331
423 오합지졸 바람의종 2007.12.16 1060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