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1.09 01:42

운율

조회 수 8230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운율

고장말들이 서로 차이를 보이는 게 여럿 있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요소가 바로 ‘울림과 높낮이, 그리고 길고 짧음’이다. 이 요소가 지역마다 달라서 경상 방언에는 음의 높낮이가 뚜렷하고, 전라와 충청 방언에는 길고 짧음(장단)이 두드러진다. 시인이나 작가들은 지역 언어에서 익힌 이 고유한 운율로 저마다 고향의 정서를 표현한다.

시인 박목월은 〈사투리〉란 작품에서 “우리 고장에서는 오빠를 오라베라고 했다. 그 무뚝뚝하고 왁살스러운 악센트로 오오라베 부르면 나는 앞이 칵 막히도록 좋았다”라며 자신의 고장말을 통해 경상도 사람들의 정감과 심성, 그리고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형상화하고 있다.
미당 서정주는 시 〈화사〉에서 “사향 박하의 뒤안길이다. 아름다운 베암…을마나 크다란 슬픔으로 태여났기에, 저리도 징그라운 몸둥아리냐”라고 표현하면서 장음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는 정서적 현장감과 사실성을 나타내고자 쓰이고, 또한 운율과 관련되어 부드럽고 유연함을 더하고 있다.
김영랑의 시 〈누이의 마음아 나를 보아라〉에서는 “오매 단풍들것네”라는 전라 방언을 반복적으로 사용하면서 운율적인 효과를 잘 살리고 있다. 감탄사 ‘오매’를 ‘오오매, 오오오매’와 같이 음절을 늘리면서 자신의 감정을 전달하고 있다.

이처럼 시인들은 갖가지 비유뿐만 아니라 ‘오오라베, 베암, 오오오매’와 같은 고장말의 독특한 운율을 잘 활용하는 선수들이기도 하다.

이태영/전북대 교수·국어학





***** 윤영환님에 의해서 게시물 카테고리변경되었습니다 (2008-10-14 00:0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19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79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717
422 다슬기 바람의종 2007.12.15 8806
421 옮김과 뒤침 바람의종 2007.12.15 8134
420 야단법석 바람의종 2007.12.15 6526
419 아수라장 바람의종 2007.12.15 7433
418 꿍치다 바람의종 2007.12.14 9359
417 말과 나라 바람의종 2007.12.14 6772
416 아비규환 바람의종 2007.12.14 7390
415 수수방관 바람의종 2007.12.14 7248
414 뒷담화 바람의종 2007.12.13 7177
413 부추? 바람의종 2007.12.13 6279
412 수렴 청정 바람의종 2007.12.13 8346
411 속수무책 바람의종 2007.12.13 7339
410 우리와 저희 바람의종 2007.12.12 8489
409 다방구 바람의종 2007.12.12 8973
408 삼척동자 바람의종 2007.12.12 6831
407 몽골말과 몽골어파 바람의종 2007.11.10 9687
406 사주단자 바람의종 2007.11.10 11737
405 훈훈하다 바람의종 2007.11.09 13460
» 운율 바람의종 2007.11.09 8230
403 싸우다와 다투다 바람의종 2007.11.09 6934
402 사십구재 바람의종 2007.11.09 6996
401 과대포장 바람의종 2007.11.08 694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