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1.06 00:32

칼미크말

조회 수 7708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칼미크말

카스피해 서쪽에 칼미크공화국이 있다. 러시아연방국이다. 지금 이곳 대통령은 한때 우리나라 한 자동차 회사의 러시아지역 판매원으로 활동해 큰돈을 번 사람이다. 대통령이 된 뒤 서울시와 경제협력 협정을 맺고 ‘서울타운’이라는 경제자유구역 설치를 추진하기도 했다. 이곳에는 17세기 초 서부 몽골에서 온 몽골계의 오이라트족 30여만명이 살고 있다. 이들을 칼미크족이라 하는데, 본디 ‘칼미크’란 터키말로 ‘남아 있는 사람’을 뜻한다. 곧, 이들은 이곳에 왔다가 고국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눌러사는 사람들이다. 이들이 쓰는 말이 몽골어파의 하나인 ‘칼미크말’이다.

현재 칼미크말은 두 가지 문제를 안고 있다. 우선 사용 인구가 급격히 줄어 대부분 일상생활에서 러시아말을 쓴다. 말을 지켜야 민족을 지킬 수 있음을 알지만 현실은 어렵다. 다른 문제는 문법이 점차 바뀌고 있다는 점이다. 칼미크말은 우리말 ‘나는 책을 읽는다’처럼 ‘주어-목적어-서술어’ 차례로 서술어가 맨 뒤에 온다. 그런데 요즘은 러시아말 간섭을 받아 주어 다음에 서술어가 바로 오는 어순을 흔히 쓴다.

최근 일륨지노프 대통령은 중국 정부에다 중국에 사는 오이라트족 1만명을 이민으로 보내 달라고 이색적인 요청을 했다. 이들이 이주해 오면 모든 편의를 제공하겠다고 제안했다. 여기서 같은 민족의 영입을 통해 사라져가는 모국어를 되살리려는 한 젊은 지도자의 강력한 의지를 확인할 수 있다.

권재일/서울대 교수·언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501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61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6341
3106 갓달이 바람의종 2008.10.07 7195
3105 강남 바람의종 2009.02.12 6650
3104 강남 제비 바람의종 2007.04.29 11216
3103 강냉이 바람의종 2008.06.15 9603
3102 강냉이, 옥수수 바람의종 2011.10.27 9889
3101 강다짐 바람의종 2010.02.25 9890
3100 강쇠 바람의종 2008.10.17 7977
3099 강술 바람의종 2010.06.08 9652
3098 강짜 바람의종 2008.12.07 8351
3097 강추위 바람의종 2009.12.18 7740
3096 바람의종 2008.09.19 7486
3095 개개다(개기다) 風磬 2006.09.13 16414
3094 개고기 수육 바람의종 2012.05.02 11735
3093 개구리밥 바람의종 2008.07.17 6117
3092 개구지다 바람의종 2007.12.20 8837
3091 개나발 바람의종 2008.02.21 10272
3090 개념의 차이, 문화어 風文 2022.06.13 1604
3089 개떡같다 바람의종 2008.02.21 10820
3088 개망초 바람의종 2008.07.21 5287
3087 개미티 file 바람의종 2009.09.27 6235
3086 개발과 계발 바람의종 2010.11.03 12108
3085 개밥바라기 바람의종 2010.01.15 830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