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1.06 00:32

칼미크말

조회 수 7695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칼미크말

카스피해 서쪽에 칼미크공화국이 있다. 러시아연방국이다. 지금 이곳 대통령은 한때 우리나라 한 자동차 회사의 러시아지역 판매원으로 활동해 큰돈을 번 사람이다. 대통령이 된 뒤 서울시와 경제협력 협정을 맺고 ‘서울타운’이라는 경제자유구역 설치를 추진하기도 했다. 이곳에는 17세기 초 서부 몽골에서 온 몽골계의 오이라트족 30여만명이 살고 있다. 이들을 칼미크족이라 하는데, 본디 ‘칼미크’란 터키말로 ‘남아 있는 사람’을 뜻한다. 곧, 이들은 이곳에 왔다가 고국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눌러사는 사람들이다. 이들이 쓰는 말이 몽골어파의 하나인 ‘칼미크말’이다.

현재 칼미크말은 두 가지 문제를 안고 있다. 우선 사용 인구가 급격히 줄어 대부분 일상생활에서 러시아말을 쓴다. 말을 지켜야 민족을 지킬 수 있음을 알지만 현실은 어렵다. 다른 문제는 문법이 점차 바뀌고 있다는 점이다. 칼미크말은 우리말 ‘나는 책을 읽는다’처럼 ‘주어-목적어-서술어’ 차례로 서술어가 맨 뒤에 온다. 그런데 요즘은 러시아말 간섭을 받아 주어 다음에 서술어가 바로 오는 어순을 흔히 쓴다.

최근 일륨지노프 대통령은 중국 정부에다 중국에 사는 오이라트족 1만명을 이민으로 보내 달라고 이색적인 요청을 했다. 이들이 이주해 오면 모든 편의를 제공하겠다고 제안했다. 여기서 같은 민족의 영입을 통해 사라져가는 모국어를 되살리려는 한 젊은 지도자의 강력한 의지를 확인할 수 있다.

권재일/서울대 교수·언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79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42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6125
3106 효시 바람의종 2007.10.08 13727
3105 떼부자 바람의종 2007.10.08 11980
3104 휘하 바람의종 2007.10.09 13660
3103 단소리/쓴소리 바람의종 2007.10.09 11840
3102 휴거 바람의종 2007.10.10 15498
3101 얼과 넋 바람의종 2007.10.10 8610
3100 희망 바람의종 2007.10.11 11389
3099 ‘부럽다’의 방언형 바람의종 2007.10.11 9677
3098 감안하다 바람의종 2007.10.12 15367
3097 새말 만들기 바람의종 2007.10.12 7859
3096 (공장)부지 바람의종 2007.10.13 7856
3095 ‘우거지붙이’ 말 바람의종 2007.10.13 10938
3094 기라성 바람의종 2007.10.14 7645
3093 쉬다와 놀다 바람의종 2007.10.14 10515
3092 납득하다 바람의종 2007.10.16 9365
3091 방언은 모국어다 바람의종 2007.10.16 9099
3090 단수 정리 바람의종 2007.10.17 16388
3089 청소년의 새말 바람의종 2007.10.17 11449
3088 대합실 바람의종 2007.10.18 8925
3087 우리 바람의종 2007.10.18 9295
3086 수순 바람의종 2007.10.19 10408
3085 분루 바람의종 2007.10.19 1132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