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1.03 00:27

금과 줄

조회 수 5912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금과 줄

지난 세기 중반까지만 해도 국어 시험에 “다음 밑금 그은 문장에서 맞춤법이 틀린 낱말을 찾아 고치시오.” 하는 문제가 많았다. 그런데 60년대를 지나면서 ‘밑금’은 시나브로 ‘밑줄’로 바뀌어 요즘은 모조리 ‘밑줄’뿐이다. “다음 밑줄 친 문장에서 맞춤법이 틀린 낱말을 찾아 고치시오.” 이렇게 되었다. 우리말을 가르치는 국어 교육이 잘못 쓰는 말을 바로잡기는커녕 앞장서 틀린 말을 퍼뜨린 것이다.

종이나 마당 같이 반반한 바닥에 긋는 것은 ‘금’이다. ‘긋다’와 ‘금’, ‘그리다’와 ‘그림’과 ‘글’은 모두 같은 뿌리에서 나왔다. ‘줄’은 시험지 같은 종이에 칠 수가 없다. 빨랫줄이든 전깃줄이든 연줄이든 ‘줄’은 공중에 치는 것이고, 반반한 바닥에는 떨어뜨려 놓을 수밖에 없다. 다만, 바닥에 죽 늘어서 있는 것도 ‘줄’이다. 그러나 이런 ‘줄’은 치지 않고 짓는다. 군인은 줄을 ‘지어’ 걸어가고, 글월은 줄을 ‘지어’ 써내려 간다.

‘줄’은 생김과 쓰임에 따라 여러 가지다. 잡아당겨도 끊어지지 않도록 굵게 드린 ‘바’는 흔히 ‘밧줄’이라고 겹쳐 쓰지만, 씨름꾼이 샅에 매는 ‘샅바’는 그냥 ‘바’다. 실이나 삼이나 종이로 가늘게 꼬는 ‘노’도 ‘노끈’이라고 겹쳐 말하고 조심스러운 물건을 묶는 데 쓴다. ‘올’도 ‘줄’이기는 하나 너무 가늘어서 ‘줄’을 만드는 감에나 쓰인다. 물건을 매거나 묶거나 꿰는 데 두루 쓰이는 ‘끈’이 있고, 평평하게 너비가 있어서 허리띠, 머리띠, 애기 업는 띠로 쓰이는 ‘띠’도 있다.

김수업/우리말교육대학원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21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81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739
400 터키말과 튀르크어파 바람의종 2007.11.08 6609
399 사발통문 바람의종 2007.11.08 9035
398 줄여 쓰는 말 바람의종 2007.11.07 10902
397 복수 표준어 바람의종 2007.11.07 7230
396 는개와 느리 바람의종 2007.11.07 10546
395 사면초가 바람의종 2007.11.07 8023
394 책보따리·책보퉁이 바람의종 2007.11.06 8591
393 칼미크말 바람의종 2007.11.06 7435
392 부부 금실 바람의종 2007.11.06 7908
391 낚시질 바람의종 2007.11.05 7197
390 지역 언어 바람의종 2007.11.05 6998
389 ‘뛰다’와 ‘달리다’ 바람의종 2007.11.05 5700
388 봉두난발 바람의종 2007.11.05 10585
387 야단벼락/혼벼락 바람의종 2007.11.04 8317
386 언어 보존 바람의종 2007.11.04 7200
385 여성상과 새말 바람의종 2007.11.04 9035
384 밀랍인형 바람의종 2007.11.04 10846
» 금과 줄 바람의종 2007.11.03 5912
382 쉽게 찾기 바람의종 2007.11.03 6526
381 대증요법 바람의종 2007.11.03 6096
380 미혼남·미혼녀 바람의종 2007.11.02 9923
379 만주말 바람의종 2007.11.02 711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