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0.28 11:36

사전과 방언

조회 수 6180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사전과 방언

남북의 여러 학자와 전문가들이 함께 만들고 있는〈겨레말큰사전〉에 실릴 올림말로 약 30만 낱말을 잡고 있다. 고유어를 중심으로 편찬하는 까닭에 고장 정서가 스민 방언, 여러 문학 작품에서 부려쓰는 토박이 어휘들이 약 10만 낱말 정도 새로 실린다. 왜 방언과 작품의 어휘를 이처럼 많이 싣는 것일까? 그것은 ‘민족적 특징을 나타내는 고유어’를 중심으로 한다고 합의한 편찬 지침에 따르는 것이다. 우리 겨레의 역사, 다양한 지역의 전통과 민속, 고유한 정서와 문화를 방언과 문학작품 속의 언어들이 많이 담고 있기 때문이다. 표준어의 경우에는 ‘내’(煙)와 ‘연기’를 사전에 올리고 있으나 북쪽의 문화어에서는 ‘내, 연기’와 더불어 방언인 ‘내굴’을 주된 어휘로 싣고 있다. 따라서〈조선말대사전〉에는 ‘내굴길, 내굴내, 내굴먼지, 내굴분무기, 내굴칸, 내굴쏘임, 내굴찜, 내굴안개’ 등의 복합어가 표제항으로 올랐다. 적극적으로 고장말을 활용하고 있는 셈이다.

남쪽의 국어사전들에서는 ‘내, 연기’의 사투리인 ‘내음, 내금’을 ‘내’의 경상방언으로만 표기하고 어휘의 방언적 특징과 예문을 내보이지 않고 있다. 이는 그간 방언 어휘를 적극적으로 연구하지 않아서 그렇다.〈겨레말큰사전〉은 이를 보완하여 배달겨레의 특성을 지닌 토박이말인 고장말을 아름답고 품위 있는 우리말로 대접해 사전에 올리려 애쓰고 있다.

이태영/전북대 교수·국어학





***** 윤영환님에 의해서 게시물 카테고리변경되었습니다 (2008-10-14 00:05)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58761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205353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20234
    read more
  4. ‘강한 바람’만인가?

    Date2007.10.27 By바람의종 Views7293
    Read More
  5. 사전과 방언

    Date2007.10.28 By바람의종 Views6180
    Read More
  6. 새말과 사전

    Date2007.10.31 By바람의종 Views6350
    Read More
  7. 사라져가는 언어(2)

    Date2007.10.31 By바람의종 Views7390
    Read More
  8. 엎어지다와 자빠지다

    Date2007.10.31 By바람의종 Views8224
    Read More
  9. 소설속 고장말

    Date2007.11.01 By바람의종 Views9467
    Read More
  10. 댓글

    Date2007.11.01 By바람의종 Views5578
    Read More
  11. 만주말

    Date2007.11.02 By바람의종 Views7194
    Read More
  12. 미혼남·미혼녀

    Date2007.11.02 By바람의종 Views10008
    Read More
  13. 쉽게 찾기

    Date2007.11.03 By바람의종 Views6619
    Read More
  14. 금과 줄

    Date2007.11.03 By바람의종 Views5984
    Read More
  15. 여성상과 새말

    Date2007.11.04 By바람의종 Views9121
    Read More
  16. 언어 보존

    Date2007.11.04 By바람의종 Views7277
    Read More
  17. 야단벼락/혼벼락

    Date2007.11.04 By바람의종 Views8407
    Read More
  18. ‘뛰다’와 ‘달리다’

    Date2007.11.05 By바람의종 Views5807
    Read More
  19. 지역 언어

    Date2007.11.05 By바람의종 Views7096
    Read More
  20. 낚시질

    Date2007.11.05 By바람의종 Views7251
    Read More
  21. 칼미크말

    Date2007.11.06 By바람의종 Views7541
    Read More
  22. 책보따리·책보퉁이

    Date2007.11.06 By바람의종 Views8669
    Read More
  23. 는개와 느리

    Date2007.11.07 By바람의종 Views10621
    Read More
  24. 복수 표준어

    Date2007.11.07 By바람의종 Views7286
    Read More
  25. 줄여 쓰는 말

    Date2007.11.07 By바람의종 Views10987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