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0.25 07:38

정서적 의미

조회 수 9784 추천 수 2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정서적 의미

국어사전에는 ‘샘’의 뜻을 ‘물이 땅에서 솟아나는 곳, 또는 그 물’이라고 풀이한다. ‘샘’이 가지는 물리적 현상을 푼 것이다. 그런데 우리가 전라 방언에서 쓰이는 ‘샘’의 고장말 ‘시암’을 쓴다면 이 ‘시암’의 의미는 쓰는 사람 따라 상당히 다른 정서적 의미를 갖게 된다.

‘집안이나 마을 어귀에서 물이 솟아나는 곳’이 일반적인 의미겠지만 어떤 사람들은 ‘쌀이나 채소를 씻거나 손빨래를 하며 물을 긷는 곳, 아낙네들이 모여 삶의 얘기를 나누는 곳, 겨울에 물 길러 갔다가 얼음에 미끄러져 다친 곳, 여름철 더위에 등목을 하던 곳’ 등 다양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시암’이라는 방언에 녹아 있는 정감은 오랜 전통과 문화와 역사 속에서 다져진 정서적 의미를 말하는 것이다. ‘시암’에 얽힌 개인의 추억과 경험에 따라서 방언 ‘시암’의 문화·정서적 의미는 아주 다양할 것이다. 그래서 지역에 사는 사람들은 그 고장말을 많이 쓸 수밖에 없다. 이는 ‘새미, 시얌, 새암, 삼,  …’ 들로 말하는 고장에서도 마찬가지다.

사람들이 주로 쓰는 말은 대체로 경험적으로 익힌 것들이다. 따라서 어려서부터 길든 말을 즐겨 쓰게 된다. 이럴 때, 표준어가 보여주는 물리·현상적 의미와 고장말의 체험·정서적 의미가 대립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고장말의 문화·정서적 의미를 고려하지 않는 환경을 만나면 사람들은 표현에 한계를 느끼고 글쓰기와 말하기를 어렵게 생각할 수밖에 없다.

이태영/전북대 교수·국어학





***** 윤영환님에 의해서 게시물 카테고리변경되었습니다 (2008-10-14 00:0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30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82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806
26 헷갈리는 맞춤법 風文 2024.01.09 1769
25 ‘거칠은 들판’ ‘낯설은 타향’ 風文 2024.01.09 1748
24 ‘도와센터’ ‘몰던카’ 風文 2024.01.16 1680
23 “영수증 받으실게요” 風文 2024.01.16 1638
22 ‘시월’ ‘오뉴월’ 風文 2024.01.20 1697
21 바람을 피다? 風文 2024.01.20 1586
20 김치 담그셨어요? 風文 2024.02.08 1663
19 금수저 흙수저 風文 2024.02.08 1596
18 내 청춘에게? 風文 2024.02.17 1453
17 떼려야 뗄 수 없는 인연 風文 2024.02.17 1529
16 ‘요새’와 ‘금세’ 風文 2024.02.18 1602
15 배레나룻 風文 2024.02.18 1464
14 ‘끄물끄물’ ‘꾸물꾸물’ 風文 2024.02.21 1585
13 가던 길 그냥 가든가 風文 2024.02.21 1691
12 온나인? 올라인? 風文 2024.03.26 1456
11 웃어른/ 윗집/ 위층 風文 2024.03.26 1519
10 갑질 風文 2024.03.27 1679
9 ‘머스트 해브’와 ‘워너비’ 風文 2024.03.27 1794
8 ‘수놈’과 ‘숫놈’ 風文 2024.05.08 604
7 서거, 별세, 타계 風文 2024.05.08 688
6 ‘Merry Christmas!’ ‘Happy New Year!’ 風文 2024.05.10 601
5 주책이다/ 주책없다, 안절부절하다/안절부절못하다, 칠칠하다/칠칠치 못하다 風文 2024.05.10 55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