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0.17 01:04

청소년의 새말

조회 수 11174 추천 수 1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청소년의 새말

20여 년 전만 해도 유행어를 만들어 내는 이들은 주로 대학생들이었다. ‘바보’(바라볼수록 보고 싶은 사람), ‘옥떨메’(옥상에서 떨어진 메주 덩어리) 등의 재미있는 말들이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며 유행했다. 인터넷이 의사소통과 문화 확산의 주된 매체로 자리잡으면서 새말을 만들어 쓰는 이들의 나이대가 낮아지고 전파 속도도 빨라졌다. 이들이 새말을 만들어 쓰는 이유로는, 크게 시간 제약, 공간 제약, 집단의식 세 가지를 들 수 있다. 빨리 글을 쓰려고 이어 적고(머시따), 줄여 적고(셤), 단어나 음절을 숫자로 대신한다(쪽8리다). 짧은 글에 감정을 나타내고자 자음·모음 등을 교체하고(그리구), 문장부호를 겹쳐 쓰며(!!!), 그림말을 사용한다(^^;). 이런 말들은 또래끼리 소통하는 곁말(은어)로 자리잡았다.

젊은 세대와 기성세대의 문화가 다른 것이 자연스러운데도 새말이 문제가 되는 것은 소통에 걸림돌이 되기 때문이다. 청소년들이 직접적인 대화보다는 인터넷이나 이동통신을 통한 의사소통을 선호하고, 기성세대는 이들과 대화할 여유가 없으므로 세대 단절이 깊어진 것이다. 하지만 청소년들의 새말 만들기가 나쁘기만 한 것은 아니다. 기발한 새말을 통해 청소년들의 창의적인 사고를 엿볼 수 있다. 무조건 쓰지 말라고 청소년들을 다그칠 것이 아니라 학습 공간, 공적인 장소, 어른과 대화하는 자리에서 바른 말을 쓸 수 있는 분별력을 기르도록 이끌어야 할 것이다.

김한샘/국립국어원 연구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06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67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618
356 경제성 바람의종 2007.10.21 9772
355 신병 바람의종 2007.10.21 7145
354 사투리와 토박이말 바람의종 2007.10.20 10092
353 시말서 바람의종 2007.10.20 7289
352 분루 바람의종 2007.10.19 11057
351 수순 바람의종 2007.10.19 10356
350 우리 바람의종 2007.10.18 8986
349 대합실 바람의종 2007.10.18 8892
» 청소년의 새말 바람의종 2007.10.17 11174
347 단수 정리 바람의종 2007.10.17 16303
346 방언은 모국어다 바람의종 2007.10.16 8863
345 납득하다 바람의종 2007.10.16 9332
344 쉬다와 놀다 바람의종 2007.10.14 10230
343 기라성 바람의종 2007.10.14 7592
342 ‘우거지붙이’ 말 바람의종 2007.10.13 10565
341 (공장)부지 바람의종 2007.10.13 7737
340 새말 만들기 바람의종 2007.10.12 7796
339 감안하다 바람의종 2007.10.12 15160
338 ‘부럽다’의 방언형 바람의종 2007.10.11 9311
337 희망 바람의종 2007.10.11 11119
336 얼과 넋 바람의종 2007.10.10 8559
335 휴거 바람의종 2007.10.10 1518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