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4.03.27 06:22

갑질

조회 수 238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갑질

요즘 하루가 멀다 하고 언론에 등장하는 말 중에 ‘갑질’이 있다. 비교적 최근에 생겨난 말로 ‘유리한 위치에 있는 사람이 약자인 상대에게 하는 부당한 행위’를 가리킨다. 이 말은 차례나 등급을 매길 때 첫째를 이르는 ‘갑’에 접미사 ‘질’이 결합해서 만들어졌다. 보통 계약서를 쓸 때 계약의 두 당사자를 편의상 ‘갑, 을’로 칭하게 되는데, 이때 상대적으로 우위에 있는 쪽이 ‘갑’이 된다. 이런 관습으로부터 ‘갑’에는 권력이나 지위가 높은 쪽, ‘을’에는 낮은 쪽의 의미가 덧씌워지게 되었다. 여기에 ‘질’이 붙어 새말이 만들어진 게 흥미롭다. ‘질’이 붙은 말은 대개 부정적인 뜻으로 쓰인다. 물론 ‘가위질’이나 ‘바느질’처럼 부정적인 뜻 없이 단순히 그 도구를 사용해서 하는 일을 가리키는 경우도 있다. 그런데 직업이나 직책, 또는 사람이 하는 행위에 ‘질’이 붙을 때는 그 일을 비하하거나, 또는 그 일이 바람직하지 못하다는 가치 평가가 덧붙는다.

비단 ‘도둑질’ ‘싸움질’ ‘고자질’ 같이 본래 나쁜 일을 가리킬 때만이 아니다. 대표적인 예로 ‘선생질’이 있다. 학생들을 교육하는, 존중 받는 직업에 ‘질’이라는 접미사가 결합됨으로써 그 일을 하찮게 여기거나 낮잡는 상황에서만 쓰는 말이 돼버린다. ‘전화질’이나 ‘자랑질’도 마찬가지다. 쓸 데 없이 자주 전화를 하거나 지나치게 자랑을 많이 하는 경우를 비난하는 의미로만 쓰인다. 그런데 북한말에는 ‘질’에 그런 비하의 뜻이 없다고 한다. 새터민들 중에는 ‘선생질’을 ‘교사로서의 직분’이라는 평범한 의미로 썼다가 남한 사람들과 소통에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사전에 없지만 ‘갑질’이란 말에는, 그런 행동이 해서는 안 될 ‘못된 짓’이라는 사회적 합의가 담겨 있음을 알 수 있다.

정희원 국립국어원 어문연구실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266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932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4053
3128 갈기갈기, 갈래갈래, 갈갈이, 갈가리 바람의종 2009.10.28 10818
3127 갈께/갈까 바람의종 2008.09.20 6982
3126 갈대 바람의종 2008.05.12 6695
3125 갈대와 억새 바람의종 2010.07.30 9513
3124 갈두·갈헌 바람의종 2008.08.27 8127
3123 갈등 바람의종 2007.05.29 6386
3122 갈매기 바람의종 2009.05.06 6741
3121 갈매기살, 제비추리, 토시살 바람의종 2008.11.16 8811
3120 갈치, 적다, 작다 바람의종 2008.10.25 8544
3119 감감소식 바람의종 2007.04.29 8306
3118 감동·어루동 바람의종 2008.07.04 5918
3117 감로수 바람의종 2007.05.29 7811
3116 감안하다 바람의종 2007.10.12 15327
3115 감장이 바람의종 2008.10.30 6732
3114 감질나다 바람의종 2010.08.03 12844
3113 감질맛, 감칠맛 바람의종 2012.12.24 30838
3112 갑작사랑 바람의종 2008.05.05 7600
3111 갑작힘 바람의종 2008.04.30 8378
3110 갑절과 곱절 바람의종 2010.03.09 9783
3109 갑종 근로소득세 바람의종 2007.05.30 11508
» 갑질 風文 2024.03.27 2380
3107 값과 삯 바람의종 2007.12.26 621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