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4.01.09 09:32

헷갈리는 맞춤법

조회 수 220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헷갈리는 맞춤법

이성이 맞춤법을 자주 틀리면 호감도가 떨어진다고 한다. 대학생들을 상대로 한 조사에서 나온 결과이다. 인터넷과 SNS에서는 맞춤법을 일부러 무시하는 경우가 많다. 정겹게 느껴질 때도 있지만 도가 지나치다 싶을 때도 있다. 그래도 일부러 틀리는 것과 모르고 틀리는 것은 구별하는 것 같아 한편으로는 다행이다 싶은 생각도 든다.

헷갈리는 맞춤법 중에 어미와 관련된 것이 많다. ‘-데요’와 ‘-대요’는 뜻이 다르다. ‘-데(요)’는 자신이 경험한 사실을 회상할 때 쓰는 반면에 ‘-대(요)’는 남이 말한 내용을 전달할 때 쓴다. “모스크바는 날씨가 춥데(요)”라고 하면 “모스크바에 가봤더니 날씨가 춥더라”는 뜻이다. 하지만 “모스크바는 날씨가 춥대(요)”라고 하면 “다른 사람들이 모스크바 날씨가 춥다고 하더라”는 뜻이 된다.

‘-에요’와 ‘-예요’는 발음상의 편의에 따라 구분된다. 받침이 있는 체언 뒤에서는 ‘-이에요’, 받침이 없는 체언 뒤에서는 ‘-이에요’가 줄어든 ‘-예요’를 쓴다. “연필이에요” “책이에요” “ 물이에요” “학교예요” “어디예요” “누구예요”와 같이 쓴다. 그렇다면 ‘아니에요’가 맞을까? ‘아니예요’가 맞을까? ‘아니다’는 용언이므로 어간‘아니’에 ‘에요’가 붙어 ‘아니에요’가 된다.

‘되’와 ‘돼’도 쓸 때마다 고민하게 된다. ‘되어’로 바꿀 수 있으면 ‘돼’가 맞다. ‘되어요’ ‘되어서’ ‘되었고’ ‘되었다’가 줄어서 ‘돼요’ ‘돼서’ ‘됐고’ ‘됐다’가 된다. ‘되’는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붙어 ‘되고’ ‘되니까’ ‘되는데’처럼 쓴다. ‘되’는 어간으로 홀로 쓸 수 없기 때문에 “안 되”가 아니라 “안 돼”가 맞는 것이다.

임수민 KBS 아나운서실 한국어연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989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638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1269
3436 고장말은 일상어다 / 이태영 바람의종 2007.07.24 22763
3435 우리말의 참된 가치 / 권재일 바람의종 2007.08.31 13582
3434 언어의 가짓수 바람의종 2007.09.26 13043
3433 상일꾼·큰머슴 바람의종 2007.09.28 12886
3432 ‘기쁘다’와 ‘즐겁다’ 바람의종 2007.09.29 12673
3431 언어 분류 바람의종 2007.10.06 13519
3430 떼부자 바람의종 2007.10.08 11883
3429 단소리/쓴소리 바람의종 2007.10.09 11742
3428 ‘부럽다’의 방언형 바람의종 2007.10.11 9493
3427 ‘우거지붙이’ 말 바람의종 2007.10.13 10757
3426 쉬다와 놀다 바람의종 2007.10.14 10401
3425 방언은 모국어다 바람의종 2007.10.16 8974
3424 청소년의 새말 바람의종 2007.10.17 11341
3423 우리 바람의종 2007.10.18 9138
3422 분루 바람의종 2007.10.19 11210
3421 사투리와 토박이말 바람의종 2007.10.20 10266
3420 경제성 바람의종 2007.10.21 9906
3419 외국어와 새말 바람의종 2007.10.22 10392
3418 알타이말 바람의종 2007.10.23 10182
3417 정서적 의미 바람의종 2007.10.25 9930
3416 사라져가는 언어(1) 바람의종 2007.10.26 6718
3415 맨정신/맨흙 바람의종 2007.10.26 827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