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3.12.28 15:05

한소끔과 한 움큼

조회 수 115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한소끔과 한 움큼

신혼 시절, 찌개라도 한번 끓이려면 친정어머니께 전화를 너 댓 번은 했다. “뭉근하게 오래 끓여야 맛이 우러난다.” “그건 팔팔 끓여야 되는 거야.” “한소금 끓으면 바로 건져내.” 불 조절이 요리의 성패를 좌우한다는 걸 그때 깨달았다.

그때 다른 건 알겠는데 ‘한소금’이 얼마만큼인지는 정확하게 감이 오질 않았다. 어머니의 설명에 따르면 ‘거품이 한번 부르르 올라올 때까지’가 ‘한소금’이란다. 그런데 ‘한소금’을 사전에 찾으니 나오지 않는다. ‘한소쿰’ 혹은 ‘한소큼’이라고 하는 사람도 있는데 ‘한소끔’이 표준어다.

‘한소끔’은 ‘한번 끓어오르는 모양’을 말한다. 조리법에서는 ‘새로운 재료를 넣은 뒤에 그 재료가 다시 한 번 끓을 정도의 시간을 나타내는 말’이라고 한다. ‘밥이 한소끔 끓으면 불을 줄여야 한다’와 같이 쓸 수 있다. ‘한소끔’은 또 ‘일정한 정도로 한차례 진행되는 모양’이라는 뜻도 있다. ‘한소끔 잤다’라고 하면 ‘한숨 잤다’는 뜻이 된다. ‘한소끔 되게 앓았다’고 하면 ‘한차례 심하게 아팠다’는 뜻이다.

‘한 움큼’이라는 말도 자주 틀리는 말 중 하나이다. ‘움큼’의 발음이 쉽지 않기 때문인지 ‘웅큼’이라고 쓰는 경우를 자주 보는데 이는 잘못된 표현이다. ‘움큼’은 ‘손으로 한 줌 움켜쥘 만한 분량을 세는 단위’를 나타내는 말로 ‘아이가 과자를 한 움큼 집었다’와 같이 쓸 수 있다. 근거는 없지만 ‘움켜쥘 만큼’이 줄어서 ‘움큼’이 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해본다.

우리말이 살아있다는 느낌을 받을 때가 있다. 단어를 소리 내는 것만으로 신기하게도 모양이나 소리, 느낌까지 그대로 연상이 될 때다. ‘한소끔’과 ‘한 움큼’도 나에게는 그런 말 중의 하나이다.

임수민 KBS 아나운서실 한국연구부장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46072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192616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07681
    read more
  4. “영수증 받으실게요”

    Date2024.01.16 By風文 Views1271
    Read More
  5. ‘도와센터’ ‘몰던카’

    Date2024.01.16 By風文 Views1307
    Read More
  6. ‘거칠은 들판’ ‘낯설은 타향’

    Date2024.01.09 By風文 Views1317
    Read More
  7. 헷갈리는 맞춤법

    Date2024.01.09 By風文 Views1427
    Read More
  8. 사라져 가는 한글 간판

    Date2024.01.06 By風文 Views1115
    Read More
  9. 북한의 ‘한글날’

    Date2024.01.06 By風文 Views1154
    Read More
  10. 식욕은 당기고, 얼굴은 땅기는

    Date2024.01.04 By風文 Views1127
    Read More
  11. ‘폭팔’과 ‘망말’

    Date2024.01.04 By風文 Views1112
    Read More
  12. 있다가, 이따가

    Date2024.01.03 By風文 Views1177
    Read More
  13. 내일러

    Date2024.01.03 By風文 Views1004
    Read More
  14. 아주버님, 처남댁

    Date2024.01.02 By風文 Views964
    Read More
  15. 한 두름, 한 손

    Date2024.01.02 By風文 Views1032
    Read More
  16. ‘이고세’와 ‘푸르지오’

    Date2023.12.30 By風文 Views1109
    Read More
  17. “이 와중에 참석해 주신 내외빈께”

    Date2023.12.30 By風文 Views978
    Read More
  18. 뒤치다꺼리

    Date2023.12.29 By風文 Views1071
    Read More
  19. ‘~스런’

    Date2023.12.29 By風文 Views1101
    Read More
  20. ‘며칠’과 ‘몇 일’

    Date2023.12.28 By風文 Views1032
    Read More
  21. 한소끔과 한 움큼

    Date2023.12.28 By風文 Views1151
    Read More
  22. '-시키다’

    Date2023.12.22 By風文 Views1018
    Read More
  23. 여보세요?

    Date2023.12.22 By風文 Views881
    Read More
  24. 장녀, 외딸, 고명딸

    Date2023.12.21 By風文 Views972
    Read More
  25. 어떤 반성문

    Date2023.12.20 By風文 Views888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