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3.12.22 06:09

'-시키다’

조회 수 117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시키다’

얼마 전 한 홈쇼핑 방송에서 진행자가 “오늘은 ○○을 소개시켜 드리겠습니다”라고 말하는 것을 들었다. ‘소개시키다’는 평소 자주 듣던 말이다. 그런데 홈쇼핑 방송 진행자가 직접 어떤 상품을 소개하면서 한 말이므로, ‘소개시키다’는 부적절한 사동 표현이다.

우리말에서 자기 스스로 어떤 일이나 행동을 하지 않고 남에게 어떤 일이나 행동을 하게 하는 일을 ‘사동’이라 한다. 즉 ‘사동’이란 남에게 어떤 일이나 행동을 ‘시킴’을 나타낸다. “어머니가 아이에게 밥을 먹이다”나 “어머니가 아이에게 밥을 먹게 하다”에서 어머니가 아이에게 밥을 먹게 함을 뜻하므로 이들은 사동 표현이라 할 수 있다. 앞의 예는 ‘먹-’에 결합된 ‘-이-’에 의해, 뒤의 예는 ‘-게 하다’에 의해 사동을 나타낸다. 그 밖에 ‘-시키다’에 의해 사동을 나타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선생님이 쉬운 설명으로 학생에게 어려운 수학을 잘 이해시키다”에서는 ‘이해’에 결합된 ‘-시키다’에 의해 사동을 나타낸다.

그런데 최근 ‘-시키다’의 사용이 남용 수준에 이르렀다. 사동의 의미가 없는데도 빈번히 ‘-시키다’를 쓰고 있다. ‘소개시키다’, ‘접수시키다’, ‘교육시키다’ 등이 그렇다. 남에게 소개ㆍ접수ㆍ교육하게 한 경우가 아니라면 이 말의 사용은 부적절하다. ‘소개시키다’ 등이 ‘소개하다’ 등을 강조한 말이라고 많은 사람들은 생각한다. 잘못된 생각이다.

내가 초ㆍ중ㆍ고등학교 학생이었을 적, 선생님께서는 우리들이 ‘거짓말시키다’를 쓸 때마다 그것이 ‘거짓말하다’의 잘못임을 지적해 주시곤 했다. 그땐 선생님께서 별것 아닌 것 가지고 괜히 꼰대질(?)을 한다 생각했는데, 이제는 내가 선생이 되어 그런 꼰대질(?)을 계속하고 있다.

박용찬 대구대 국어교육과 조교수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50156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196690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11657
    read more
  4. “산따” “고기떡” “왈렌끼”

    Date2024.05.31 By風文 Views26
    Read More
  5. “사겨라” “바꼈어요”

    Date2024.05.31 By風文 Views30
    Read More
  6. ‘Seong-jin Cho’ ‘Dong Hyek Lim’ ‘Sunwook Kim’

    Date2024.05.29 By風文 Views44
    Read More
  7. 어이없다

    Date2024.05.29 By風文 Views68
    Read More
  8. 주책이다/ 주책없다, 안절부절하다/안절부절못하다, 칠칠하다/칠칠치 못하다

    Date2024.05.10 By風文 Views447
    Read More
  9. ‘Merry Christmas!’ ‘Happy New Year!’

    Date2024.05.10 By風文 Views501
    Read More
  10. ‘수놈’과 ‘숫놈’

    Date2024.05.08 By風文 Views526
    Read More
  11. 서거, 별세, 타계

    Date2024.05.08 By風文 Views579
    Read More
  12. 잡담의 가치

    Date2021.09.03 By風文 Views646
    Read More
  13. 말의 권모술수

    Date2021.10.13 By風文 Views647
    Read More
  14. 무제한 발언권

    Date2021.09.14 By風文 Views699
    Read More
  15. 군인의 말투

    Date2021.09.14 By風文 Views704
    Read More
  16. 또 다른 공용어

    Date2021.09.07 By風文 Views708
    Read More
  17. 공공 재산, 전화

    Date2021.10.08 By風文 Views713
    Read More
  18. 법률과 애국

    Date2021.09.10 By風文 Views716
    Read More
  19. 정치인들의 말

    Date2021.10.08 By風文 Views721
    Read More
  20. 악담의 악순환

    Date2021.09.13 By風文 Views740
    Read More
  21. 언어적 주도력

    Date2021.09.13 By風文 Views748
    Read More
  22. 상투적인 반성

    Date2021.10.10 By風文 Views767
    Read More
  23. 아무 - 누구

    Date2020.05.05 By風文 Views785
    Read More
  24. 어버이들

    Date2021.10.10 By風文 Views804
    Read More
  25. 또 다른 이름

    Date2021.09.05 By風文 Views814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