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3.11.22 09:31

몰래 요동치는 말

조회 수 108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몰래 요동치는 말

아무래도 나는 좀스럽고 쪼잔하다. 하는 공부도 장쾌하지 못하여 ‘단어’에 머물러 있다. 새로 만들어진 말에도 별 관심이 없다. 겉모습은 그대로인데 속에선 요동치는 말에 관심 가지는 정도. 이를테면, ‘연필을 깎다’와 ‘사과를 깎다’에 쓰인 ‘깎다’는 같은 말인가, 다른 말인가, 하는 정도. 뜻이 한발짝 옆으로 옮아간 ‘물건값을 깎다’도 아니고, 그저 ‘연필’과 ‘사과’에 쓰인 ‘깎다’ 정도.

연필 깎는 칼과 사과 깎는 칼은 다르다. 연필 깎는 칼은 네모나고 손가락 길이 정도인 데다가 직사각형이다. 과일 깎는 칼은 끝이 뾰족하고 손을 폈을 때의 길이 정도이다. 연필은 바깥쪽으로 칼질하지만, 사과는 안쪽으로 해야 한다.

연필은 집게손가락 첫째 마디 위에 연필 끝을 올려놓고 반대편 손 엄지손가락으로 칼등을 밀어내며 깎는다. 사과는 손바닥으로 사과를 움켜쥐고 반대편 손은 사과 표면에 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을 넓게 벌렸다가 집게손가락에 닿아 있는 칼등을 엄지손가락이 있는 데까지 끌어당기면서 깎는다. 둘은 다르다고 해야겠군!

그래도 깎는 건 깎는 거니까 같다고? 좋다. 그러면 둘 다 같은 칼로, 같은 방향으로 깎는다고 치자. 그러면, 둘은 같은가? 행위에는 목적이나 결과가 있다. 연필을 깎으면 글을 쓰지만, 사과를 깎으면 먹는다. 두 동작(작동)의 목표와 결과는 다르다.

‘깎다’라는 말은 관념 속에 홀로 존재하지 않는다. 각각의 사물과 연결된 미세한 행동방식과 함께 몸에 새겨져 있다. 우리는 이 세계를 온 감각을 동원하여 지각하며 이해하며 행위한다. 말은 말 홀로 머물러 있지 않고, 외부 환경에 조응하는 몸의 감각과 함께 연결되어 있음을 아는 것만으로 족하다. 좀스럽긴 하지만.

김진해 |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경희대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43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86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808
3392 터키말과 튀르크어파 바람의종 2007.11.08 6490
3391 과대포장 바람의종 2007.11.08 6833
3390 싸우다와 다투다 바람의종 2007.11.09 6836
3389 운율 바람의종 2007.11.09 8133
3388 훈훈하다 바람의종 2007.11.09 13259
3387 몽골말과 몽골어파 바람의종 2007.11.10 9567
3386 다방구 바람의종 2007.12.12 8905
3385 우리와 저희 바람의종 2007.12.12 8373
3384 부추? 바람의종 2007.12.13 6192
3383 뒷담화 바람의종 2007.12.13 7049
3382 말과 나라 바람의종 2007.12.14 6712
3381 꿍치다 바람의종 2007.12.14 9257
3380 옮김과 뒤침 바람의종 2007.12.15 8081
3379 다슬기 바람의종 2007.12.15 8669
3378 새말의 정착 바람의종 2007.12.16 7390
3377 토족말 지킴이 챙고츠 바람의종 2007.12.16 6910
3376 궁시렁궁시렁 바람의종 2007.12.17 6927
3375 가시버시 바람의종 2007.12.17 7402
3374 고구마 바람의종 2007.12.18 8733
3373 도우미 바람의종 2007.12.18 8139
3372 만주말 지킴이 스쥔광 바람의종 2007.12.20 7375
3371 개구지다 바람의종 2007.12.20 849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