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3.11.14 01:38

본정통(本町通)

조회 수 152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본정통(本町通)

광복하고 70년이지만 일제의 잔재가 지명 곳곳에 여전히 남아 있다는 방송 뉴스를 며칠 전 접했다. 서울의 현재 지명인 ‘낙원동’과 ‘계동’이 그것으로, 본래 ‘탑동’과 ‘계생동’으로 불리던 것이 일제에 의해 왜곡되었다는 것이다. 그러고 보니 1980년대 중반 내가 3년간 살았던 청주의 ‘본정통’도 그런 지명 가운데 하나이다.

‘본정통(本町通ㆍ혼마치도리)’은 일본 사람들이 일반적인 도로 명칭으로 널리 쓰는 것 가운데 하나이다. ‘본정(本町)’은 ‘한 도시의 중심이 되는 거리’를, ‘통(通)’은 ‘길’을 뜻한다. 즉 ‘본정통’은 ‘도시 중심가의 길’을 가리킨다. 일본에서는 지금도 ‘도시 중심가의 길’을 가리켜 ‘본정통’이라 한다. 오사카, 교토 등의 도시에서 ‘본정통’이라는 지명은 흔하게 볼 수 있다.

일제 강점기 때 서울, 부산, 청주, 군산 등의 도시에서 가장 번화한 거리를 가리켜 ‘본정통’이라 했다. 청주의 ‘본정통’은 본래 ‘성안길’이었는데, 일제에 의해 ‘본정통’으로 불리게 되었다. 그러다가 1990년대 지역 언론과 시민 단체의 노력으로 본래의 지명인 ‘성안길’로 복원되었다.

그럼에도 나와 같은 40대 이상의 사람들에게는 아직 ‘성안길’보다는 ‘본정통’이 더 자연스럽다. 어릴 적부터 줄곧 ‘본정통’으로 불러 왔고, 그곳에서 보낸 젊은 시절의 추억이 그 이름과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가 되어 버렸기 때문이리라! 이처럼 지명 하나 바꾸어 쓰는 것조차 쉬운 일이 아니다. 일제 잔재가 우리의 언어생활에 영향을 끼치고 있다. 광복절을 맞아 우리의 아픈 과거가 반복되지 않기를, 그로 인해 우리의 언어생활이 또다시 왜곡되지 않기를 바라 본다.

박용찬 대구대 국어교육과 조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237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904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767
3392 터키말과 튀르크어파 바람의종 2007.11.08 6915
3391 과대포장 바람의종 2007.11.08 7108
3390 싸우다와 다투다 바람의종 2007.11.09 7114
3389 운율 바람의종 2007.11.09 8372
3388 훈훈하다 바람의종 2007.11.09 13775
3387 몽골말과 몽골어파 바람의종 2007.11.10 9830
3386 다방구 바람의종 2007.12.12 9120
3385 우리와 저희 바람의종 2007.12.12 8631
3384 부추? 바람의종 2007.12.13 6429
3383 뒷담화 바람의종 2007.12.13 7304
3382 말과 나라 바람의종 2007.12.14 6920
3381 꿍치다 바람의종 2007.12.14 9509
3380 옮김과 뒤침 바람의종 2007.12.15 8295
3379 다슬기 바람의종 2007.12.15 8975
3378 새말의 정착 바람의종 2007.12.16 7689
3377 토족말 지킴이 챙고츠 바람의종 2007.12.16 7346
3376 궁시렁궁시렁 바람의종 2007.12.17 7214
3375 가시버시 바람의종 2007.12.17 7785
3374 고구마 바람의종 2007.12.18 8984
3373 도우미 바람의종 2007.12.18 8368
3372 만주말 지킴이 스쥔광 바람의종 2007.12.20 7620
3371 개구지다 바람의종 2007.12.20 880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