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29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다음 소희’에 숨은 문법

특성화고 3학년 소희는 콜센터로 현장실습을 나가 인터넷 해지를 원하는 고객을 ‘방어(방해? 저지?)’하는 부서에서 일하다 스스로 목숨을 끊는다. 영화는 청소년 노동자의 죽음이 누구의 책임인지 탐색해 올라간다. 하지만 모든 걸 숫자로 치환하는 세상에서는 누구에게도 책임을 물을 수 없다. 숫자가 책임자다. 사회를 ‘돌아가게 하고’ 사람을 ‘작동’시키는 스위치는 숫자다. 이제 우리는 사랑에 가슴 두근거리지 않는다. 성과지표 합격률 취업률 가입률 지지율 인상률 연봉 같은 것들에 가슴이 뛴다.

영화의 매력은 제목에서 나온다. 피해자를 내세우고 ‘그다음 피해자는 누구냐?’며 다그치는 제목이라면 ‘소희 다음’ 정도면 될 텐데. 이상하다, ‘다음 소희’라니.

흔히 ‘다음’ 뒤에 오는 명사는 ‘다음 기회, 다음 정류장, 다음 사람, 다음 생’처럼 일반명사들이다. ‘다음 기회’는 지금과 다른 계기를 맞이할 듯하고, ‘다음 정류장’에서는 다른 풍경이 펼쳐지겠지. ‘다음 피해자’라면 다른 인물이 다른 사건을 비극적으로 만날 것이다.

그런데 ‘다음’ 뒤에 ‘소희’라는 고유명사를 박아 넣었다. 이렇게 되니 빈틈이 생기지 않는다. 개별성이 사라졌다. 회로 변경의 가능성을 끊고 마개를 닫아버렸다. ‘당신 = 다음 소희’. ‘소희 다음’은 당신이 아닐 수도 있지만, ‘다음 소희’는 반드시 당신이라고 들린다. 당신이나 나나 모두 소희다. 버둥거려봤자 소용없다. 다음도 소희, 그다음도 다시 소희. 무한 반복하고 무한 회귀하는 소희. 구제불능 사회의 절망감을 이렇게 간단하면서도 새로운 문법으로 표현하다니.


김진해 |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경희대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93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47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453
3282 한번, 한 번 / 파란색, 파란 색 바람의종 2010.11.21 12483
3281 한번, 한 번 바람의종 2009.03.26 7712
3280 한뫼-노고산 바람의종 2008.01.30 10388
3279 한목소리, 한 목소리, 한걸음, 한 걸음 바람의종 2010.06.01 13246
3278 한머사니 먹었수다! 바람의종 2009.09.18 7392
3277 한마음 / 한 마음 바람의종 2011.11.27 13097
3276 한량 바람의종 2007.09.12 8507
3275 한라산과 두무산 바람의종 2008.03.04 9552
3274 한눈팔다 바람의종 2007.04.02 12179
3273 한내와 가린내 바람의종 2008.04.05 9339
3272 한나절, 반나절, 한겻 바람의종 2008.11.23 10050
3271 한글의 역설, 말을 고치려면 風文 2022.08.19 1338
3270 한글의 약점, 가로쓰기 신문 風文 2022.06.24 1381
3269 한글박물관 / 월식 風文 2020.06.09 1664
3268 한글로 번역한다? 바람의종 2009.12.18 9679
3267 한글과 우리말 바람의종 2008.02.19 7340
3266 한글 맞춤법 강의 - 박기완 윤영환 2006.09.04 26207
3265 한글 바람의종 2010.07.19 8643
3264 한국어의 위상 風文 2022.05.11 1492
3263 한계와 한도 바람의종 2011.12.30 8450
3262 한거 가 가라! file 바람의종 2009.09.01 6510
3261 한강과 사평 바람의종 2008.06.05 766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