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2.11.21 15:14

일절과 일체

조회 수 15253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바루기] 일절과 일체

“하루에 한 갑을 피우던 사람이 1월 1일을 기해 담배를 ‘一切’ 끊을 수는 없습니다!” 신년 계획이 작심삼일로 끝나지 않으려면 평소 습관을 급격히 변화시킨다든지 현실성 없는 계획을 세워선 안 된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이 전문가가 언급한 ‘一切’이란 말은 ‘일체’로 읽어야 할까, ‘일절’로 읽어야 할까? ‘一切’의 ‘切’은 ‘온통 체’로도 쓰고 ‘끊을 절’로도 쓰는데, 이때는 ‘일절’이라 해야 맞다.
‘일체’는 모든 것을 뜻하는 명사고, ‘일절’은 아주·전혀·절대로를 뜻하는 부사다. “사원들의 금연 캠페인에 필요한 일체의 경비를 회사에서 지원한다” “몇 해 전부터 공공장소에서 흡연이 일절 금지됐다”처럼 사용한다. 모든 경비를 회사에서 지원하고, 공공장소에서 담배를 전혀 피울 수 없다는 의미로 쓰였다. 두 단어를 바꿔 쓰면 뜻이 통하지 않는다.
술집 등에서도 “안주 일절” “주류 일절”이라고 붙여 놓은 걸 자주 볼 수 있는데 손님이 주문할 만한 안주와 술 종류가 다 있다는 의미이므로 “안주 일체” “주류 일체”라고 해야 바르다. ‘일절’은 않다·없다 등 부정어와 호응해 사물을 부인하거나 행위를 금지할 때 사용한다고 생각하면 쉽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18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70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666
3238 깻잎 / 기림비 1 風文 2020.06.01 1312
3237 자막의 질주, 당선자 대 당선인 風文 2022.10.17 1313
3236 대통령과 책방 風文 2023.05.12 1313
3235 우리와 외국인, 글자 즐기기 風文 2022.06.17 1314
3234 기역 대신 ‘기윽’은 어떨까, 가르치기도 편한데 風文 2023.11.14 1317
3233 자백과 고백 風文 2022.01.12 1319
3232 귀 잡수시다? 風文 2023.11.11 1321
3231 어떻게 토론할까, 질문 안 할 책임 風文 2022.07.24 1323
3230 말의 평가절하 관리자 2022.01.31 1325
3229 새말과 소통, 국어공부 성찰 風文 2022.02.13 1325
3228 적과의 동침, 어미 천국 風文 2022.07.31 1325
3227 선정-지정 / 얼룩빼기 황소 風文 2020.05.15 1326
3226 언어적 적폐 風文 2022.02.08 1326
3225 돼지의 울음소리, 말 같지 않은 소리 風文 2022.07.20 1329
3224 태극 전사들 風文 2022.01.29 1330
3223 있다가, 이따가 風文 2024.01.03 1330
3222 말로 하는 정치 風文 2022.01.21 1331
3221 식욕은 당기고, 얼굴은 땅기는 風文 2024.01.04 1331
3220 정치와 은유(2, 3) 風文 2022.10.13 1333
3219 말의 적 / 화무십일홍 風文 2023.10.09 1335
3218 ‘이고세’와 ‘푸르지오’ 風文 2023.12.30 1340
3217 유신의 추억 風文 2021.11.15 134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