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7796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 바루기] 시다바리, 나와바리, 당일바리

영화 '친구'에서 장동건이 한 대사 중에 "내가 니 시다바리가?" "니가 가라, 하와이" 등은 당시 유행어가 될 정도로 회자되곤 했다. 여기서 문제 하나. "녀석은 흑곰파의 막내 시다바리였다" "여기는 조선 땅이야. 너희들 나와바리가 아니야" (이환경 '야인시대'), "울릉도의 특산품으로는 호박엿과 당일바리 오징어가 있다"에서 쓰인 '시다바리, 나와바리, 당일바리'는 모두 일본말에서 온 것일까. 정답은 '아니다'이다. 모두 다 일본말은 아니다. '시다바리'는 '아랫사람, 부하, 조수', '나와바리'는 '구역, 세력 범위'를 뜻하는 일본말이지만 '당일바리'의 '바리'는 우리말이다.

'바리'란 "해마다 몇씩은 잡아다가 주리를 틀었고 그럴 때마다 돈 바리와 쌀 짐이 들어왔었다" '마소의 등에 잔뜩 실은 짐 또는 그 짐을 세는 단위'를 의미하거나 '놋쇠로 만든 밥그릇'을 뜻하기도 한다. '바리'는 '바로, 즉시'라는 의미로 쓰이는 경상도.함경도 지방의 방언이기도 하다.

"백화점들이 명절을 맞아 자연산 전복과 당일바리 옥돔으로 구성된 명품 선물세트를 내놓았다" "반건조 오징어는 당일바리만 쓴다"에서 '당일바리'는 '그날 바로 잡은 고기(오징어)'를 뜻한다. 여러 지역에서 많이 쓰이고 있지만 아직 표준어로 인정받지는 못하고 있다.

북한에서는 아이들의 밥을 담은 작은 밥 바리를 '애기바리'라 부른다고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53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15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042
3326 통틀어 바람의종 2007.03.30 7473
3325 퉁맞다 바람의종 2007.03.30 8292
3324 푼돈 바람의종 2007.03.31 8844
3323 바람의종 2007.03.31 8525
3322 하루살이 바람의종 2007.04.01 9750
3321 하염없다 바람의종 2007.04.01 11083
3320 한눈팔다 바람의종 2007.04.02 12304
3319 한 손 바람의종 2007.04.02 10966
3318 한참동안 바람의종 2007.04.23 9212
3317 한통속 바람의종 2007.04.23 6600
3316 할망구 바람의종 2007.04.24 11340
3315 핫바지 바람의종 2007.04.24 8327
3314 행길 바람의종 2007.04.25 11454
3313 허풍선이 바람의종 2007.04.25 8028
3312 불구하고?/최인호 바람의종 2007.04.25 10581
3311 ‘경우’ 덜쓰기/최인호 바람의종 2007.04.25 7121
3310 관해/대하여/최인호 바람의종 2007.04.25 6123
3309 호래자식(후레자식) 바람의종 2007.04.27 14925
3308 홀몸 바람의종 2007.04.27 9709
3307 가관이다 바람의종 2007.04.28 12922
3306 가차없다 바람의종 2007.04.28 10686
3305 위하여/최인호 바람의종 2007.04.28 709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