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4.13 09:32

하노라고, 하느라고

조회 수 10854 추천 수 1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하노라고, 하느라고

어버이날이다. 하노라고 했지만 돌이켜 보면 부모의 마음 씀씀이 하나에도 미치지 못했다는 걸 새삼 느끼게 되는 날이기도 하다. 살아서는 자식 대신 아프고, 죽어서는 자식을 지켜 주고 싶은 게 부모의 마음이라니 이승에선 갚지 못할 은혜인지도 모른다.

자기 나름대로 애를 썼지만 결과가 좋지 않거나 흡족하지 않을 때 "하느라고 했는데 마음에 드실지 모르겠네요" "사흘 밤낮을 하느라고 한 게 이 모양이다"처럼 쓰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는 올바른 표현이 아니다.

'자기 딴에는 노력하다'는 뜻으로 쓸 때는 '하노라고 했는데' '하노라고 한 게'라고 해야 맞다. 이야기를 하는 사람이 자신의 행동에 대한 의도나 목적을 나타낼 때는 연결어미 '-노라고'를 붙여 쓴다.

이와 혼동해 자주 사용하는 '-느라고'는 '그렇게 하는 일 때문에'라는 의미로 앞 절의 사태가 뒤 절의 사태에 목적이나 원인이 됨을 나타낸다. "어머니, 먼 길을 오시느라고 피곤하시죠?" "몰라보게 주름살이 는 아버지의 모습에 그는 솟구치는 눈물을 감추느라고 얼굴을 돌렸다" 등처럼 쓰인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17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70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666
3238 적과의 동침, 어미 천국 風文 2022.07.31 1268
3237 자백과 고백 風文 2022.01.12 1269
3236 말의 평가절하 관리자 2022.01.31 1270
3235 자막의 질주, 당선자 대 당선인 風文 2022.10.17 1270
3234 일본이 한글 통일?, 타인을 중심에 風文 2022.07.22 1273
3233 ‘폭팔’과 ‘망말’ 風文 2024.01.04 1274
3232 경텃절몽구리아들 / 모이 風文 2020.05.24 1275
3231 말끝이 당신이다, 고급 말싸움법 風文 2022.07.19 1278
3230 사라져 가는 한글 간판 風文 2024.01.06 1278
3229 말로 하는 정치 風文 2022.01.21 1280
3228 어떻게 토론할까, 질문 안 할 책임 風文 2022.07.24 1280
3227 ‘~스런’ 風文 2023.12.29 1281
3226 ‘파바’와 ‘롯리’ 風文 2023.06.16 1282
3225 붓다 / 붇다 風文 2023.11.15 1283
3224 유신의 추억 風文 2021.11.15 1285
3223 호언장담 風文 2022.05.09 1286
3222 한글의 역설, 말을 고치려면 風文 2022.08.19 1287
3221 귀 잡수시다? 風文 2023.11.11 1287
3220 기역 대신 ‘기윽’은 어떨까, 가르치기도 편한데 風文 2023.11.14 1287
3219 깻잎 / 기림비 1 風文 2020.06.01 1288
3218 어떤 문답 관리자 2022.01.31 1288
3217 대통령과 책방 風文 2023.05.12 129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