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4754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십리도 못 가서 발병이 난다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나를 버리고 가시는 임은 십리도 못 가서 발병이 난다"는 가사의 '아리랑'은 우리 민족의 혼이 담긴 전래 민요다. 여기에 나오는 '10리'는 몇 ㎞일까? 옛날 학교나 장터 등 보통 5리, 10리는 그냥 걸어다녔다. 그 거리를 생각하면 10리는 약 4㎞가 맞다. '10리도 못 가서 발병이 난다'는 얼마 못 가서 발병 난다는 뜻으로, 10리가 40㎞라면 논리적으로도 맞지 않는다. 그러나 수첩이나 인터넷의 도량형환산표에는 1리가 약 4㎞(10리는 40㎞)라고 나와 있다. 정부 부서에 문의했더니 이게 맞다고 한다. 리(里)는 척관법의 하나다. 척관법은 길이의 기본단위로 자 또는 척(尺), 무게의 기본단위로 관(貫)을 쓰는 것이다. 시대마다 기준이 달라 조금씩 차이가 나지만 비슷했다. 1902년에는 미터법과 일본의 도량형 제도로 개정되면서 일본의 곡척(曲尺)이 척도의 기본이 됐다. 이때도 큰 차이 없이 10리는 약 4㎞다. 1961년에야 국제기준에 따라 새 미터법을 채택하게 된다. 하지만 1리가 약 3.9㎞로 정해짐으로써 10리는 약 40㎞가 된다. 이전과 열 배 차이가 난다. 속사정은 알 수 없지만 '10리=약 40km'는 문제가 있다. 사전에도 아직 1리는 약 0.4km라고 돼 있다. 10리를 4㎞로 보는 게 옳다. 그래야 '아리랑'의 '십리', '삼천리 금수강산'의 '삼천리'가 성립한다. 이제 '리'는 쓸 필요가 없으므로 문제없다고 하지만, 어디 그런가. '아리랑'과 마찬가지로 '리'에도 우리의 정서가 배어 있는 게 아닌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70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31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6037
3194 산전수전 바람의종 2007.07.19 8532
3193 삼우제 바람의종 2007.07.20 10866
3192 상극 바람의종 2007.07.20 6357
3191 선달 바람의종 2007.07.23 8777
3190 섭씨 바람의종 2007.07.23 7816
3189 성곽 바람의종 2007.07.24 6477
3188 소정 바람의종 2007.07.24 6460
3187 고장말은 일상어다 / 이태영 바람의종 2007.07.24 22953
3186 수청 바람의종 2007.07.27 8606
3185 숙맥 바람의종 2007.07.27 6712
3184 숙제 바람의종 2007.07.28 5160
3183 슬하 바람의종 2007.07.28 7162
3182 쌍벽 바람의종 2007.07.29 6403
3181 아녀자 바람의종 2007.07.29 9856
3180 아성 바람의종 2007.07.30 8630
3179 안양 바람의종 2007.07.30 7549
3178 알력 바람의종 2007.07.31 7255
3177 애로 바람의종 2007.07.31 6834
3176 야합 바람의종 2007.08.01 7646
3175 양반 바람의종 2007.08.01 7533
3174 양재기 바람의종 2007.08.02 11313
3173 어물전 바람의종 2007.08.02 742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