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9.29 22:06

않는, 않은

조회 수 15499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않는, 않은

'가을비가 잦다. 들녘에 필요한 것은 강한 햇볕과 산들거리는 바람일 텐데 생명의 근원이라는 '하늘 물'이 흔하다 보니 반갑지 않는 손님이 돼버렸다.'

위 글에 쓰인 '반갑지 않는 손님'. 자칫 지나치기 쉽지만 잘못된 표현이다. 이때는 '반갑지 않은 손님'으로 써야 한다. 앞 말을 부정하는 의미가 있는 '않는'과 '않은'은 철자 자체로는 틀린 게 아니다. 그러나 문맥에 따라 구별해야 한다.

①'눈도 깜짝거리지 않은 사관생도' '눈도 깜짝거리지 않는 사관생도'
②'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은 손녀'

①의 두 글은 '않은' 과 '않는'의 차이만 빼면 다른 점이 없다. 하지만 '않는(은)' 앞에 있는 말 '깜짝거리지'의 원말 '깜짝거리다'가 '쉬다' '놀다' 따위와 마찬가지로 동사란 점에 주목해야 한다. '밥을 먹은(먹는)'에서 볼 수 있듯 동사 어간에 '-은'이 붙으면 과거, '-는'이 붙으면 현재를 나타낸다. '깜짝거리지' 다음에 온 보조동사 '않다'를 활용한 '않은'역시 이런 원칙이 적용된다. 사관생도의 현 모습이 흐트러짐 없다는 뜻이라면 '않는', 과거의 모습을 묘사한 것이라면 '않은'을 쓰면 된다.
②의 경우는 좀더 쉽다. '아프지'의 본말 '아프다'가 형용사이며, 그 뒤의 '않다'는 보조형용사로 쓰였다. '(높지·향기롭지·맑지·깊지)+않은'의 형태에서처럼 형용사 뒤에는 '않은'을 써야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36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87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844
3260 공공언어의 주인, 언어학자는 빠져! 風文 2022.07.27 1290
3259 몸으로 재다, 윙크와 무시 風文 2022.11.09 1290
3258 김 여사 風文 2023.05.31 1292
3257 순직 風文 2022.02.01 1294
3256 세계어 배우기 風文 2022.05.11 1294
3255 생각보다, 효녀 노릇 風文 2022.09.02 1294
3254 반동과 리액션 風文 2023.11.25 1294
3253 교정, 교열 / 전공의 風文 2020.05.27 1295
3252 우방과 동맹, 손주 風文 2022.07.05 1295
3251 정보와 담론, 덕담 風文 2022.06.15 1296
3250 구경꾼의 말 風文 2022.12.19 1301
3249 ‘며칠’과 ‘몇 일’ 風文 2023.12.28 1302
3248 붓다 / 붇다 風文 2023.11.15 1304
3247 날씨와 인사 風文 2022.05.23 1305
3246 남친과 남사친 風文 2023.02.13 1306
3245 ‘다음 소희’에 숨은 문법 風文 2023.02.27 1307
3244 ‘가오’와 ‘간지’ 風文 2023.11.20 1308
3243 뒤치다꺼리 風文 2023.12.29 1309
3242 깻잎 / 기림비 1 風文 2020.06.01 1313
3241 주현씨가 말했다 風文 2023.11.21 1313
3240 '밖에'의 띄어쓰기 風文 2023.11.22 1314
3239 경텃절몽구리아들 / 모이 風文 2020.05.24 131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