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5.12 01:30

해라體와 하라體

조회 수 6908 추천 수 1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해라體와 하라體

학원 선생님인 독자께 e-메일을 받았습니다. 시험 문제를 낼 때 맞는 답을 '써라'라고 해야 하는지, '쓰라'라고 해야 하는지 늘 헷갈린다고요.

'(정답을) 고르라/골라라''(그림을) 그리라/그려라''(물음에) 답하라/답하여라''(알맞은 것끼리) 이으라/이어라' 등도 비슷한 고민거리네요.

얼굴을 맞대고 얘기할 때 상대에게 '먹으라, 마시라, 잡으라, 보라'라고 하나요? 아니지요. '먹어라, 마셔라, 잡아라, 봐라'라고 하지요. 상대를 아주 낮춰 부르는(명령하는) 이런 말투를 해라체(體)라고 합니다. 이처럼 일상 생활에서는 '동사 어간+어라/아라' 형태의 구어체 명령형을 쓰는 게 자연스럽습니다.

그렇다면 잠깐 왼쪽의 오늘의 운세를 봐 주실래요. '60년생 자신감을 키우라. 37년생 받을 것은 포기하지 말고 받으라. 61년생 건강에 신경 쓰라. 26년생 버릴수록 행복해진다. 마음을 비우라.' 여기에서 '키우라, 받으라, 쓰라, 비우라'는 '키워라, 받아라, 써라, 비워라'라고 하는 것보다 상대를 덜 낮춘 느낌이 듭니다. 이처럼 구체적으로 정해지지 않은 독자에게 책·신문 등의 매체를 통해 명령의 뜻을 나타낼 때 하는 말투를 하라체라고 합니다. '동사 어간+라/으라' 형태(문어체 명령형)로 쓰입니다.

시험 문제는 여러 학생을 대상으로 한 글말(문어)입니다. 따라서 일관성 있게 '고르라, 그리라, 답하라, 쓰라, 이으라'로 써야 합니다.

김승욱 기자 kswjiri@joongang.co.kr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99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67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500
3326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이제 '본전생각' 좀 버립시다 風文 2022.02.06 1381
3325 국어와 국립국어원 / 왜 風文 2022.08.29 1384
3324 다만, 다만, 다만, 뒷담화 風文 2022.09.07 1385
3323 말과 상거래 風文 2022.05.20 1386
3322 왠지/웬일, 어떻게/어떡해 風文 2023.06.30 1389
3321 ‘짝퉁’ 시인 되기, ‘짝퉁’ 철학자 되기 風文 2022.07.16 1390
3320 아줌마들 風文 2022.01.30 1392
3319 상석 風文 2023.12.05 1393
3318 외국어 차용 風文 2022.05.06 1396
3317 올림픽 담론, 분단의 어휘 風文 2022.05.31 1396
3316 법과 도덕 風文 2022.01.25 1397
3315 주어 없는 말 風文 2021.11.10 1398
3314 비계획적 방출, 주접 댓글 風文 2022.09.08 1398
3313 ‘내 부인’이 돼 달라고? 風文 2023.11.01 1398
3312 왜 벌써 절망합니까 - 벤처대부는 나의 소망 風文 2022.05.26 1400
3311 선정-지정 / 얼룩빼기 황소 風文 2020.05.15 1403
3310 경텃절몽구리아들 / 모이 風文 2020.05.24 1405
3309 야민정음 風文 2022.01.21 1405
3308 조의금 봉투 風文 2023.11.15 1405
3307 온실과 야생, 학교, 의미의 반사 風文 2022.09.01 1406
3306 그림과 말, 어이, 택배! 風文 2022.09.16 1409
3305 일본이 한글 통일?, 타인을 중심에 風文 2022.07.22 141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