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09.22 04:43

‘김치’와 ‘지’

조회 수 6933 추천 수 2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김치’와 ‘지’ - 고장말탐험

김치는 방언에서는 ‘짐치’ 또는 ‘지’라고 말한다. ‘짐치’는 한자어인 ‘짐 , 짐’에서 온 말이지만, ‘지’라는 말은 ‘디히>디>지’로 변한 아주 오래된 우리말이다. 표준어에서는 ‘배추지’의 ‘-지’를 명사로 보지 않고 ‘접미사’로 처리한다. ‘지’가 명사로 쓰일 때는 사투리로 처리한다.

‘지’에는 배추지·무수지(무지)·오이지·고들빼기지·파지·열무지 등이 있다. 배추나 열무로 김치를 처음 담글 때, 이 김치를 ‘쌩지’(생지)라고 말하고, 오래된 김치는 ‘묵은지’, 익은 김치는 ‘익은지’, 신 김치는 ‘신지’라 한다.

‘짓국’이란 반찬은 ‘김치 국물’이라는 뜻에다, ‘열무에 물을 많이 넣어 삼삼하게 담근 김치’를 말하기도 한다. 뒤쪽을 전라도에서는 ‘싱건지’라고 한다. 이는 ‘싱거운 김치’를 일컫는데, ‘싱겁다’에서 나온 것이다. ‘짓국’ 또는 ‘싱건지’를 ‘물김치’라고 하는 분들이 있는데, 표준어에는 없던 말로서 생긴 지 그리 오래된 말은 아니다.

‘짠지’는 ‘멸치짠지, 콩짠지’ 등을 말할 때 주로 쓰이는데, ‘짠 밑반찬’을 말한다. 때에 따라 ‘무가 흔할 때 소금에 절여두었다가 채를 썰어서 먹는 밑반찬’을 ‘짠지’라고도 한다. ‘멸치짠지, 콩짠지’는 고장말이고 표준어로는 ‘멸치조림, 콩조림’이라고 하는 줄 안다.

‘지’는 음절이 하나인 말이 갖는 불안정성 탓에 복합어에 주로 쓰이지만 온전한 말로 대접해야 한다.

이태영/전북대 교수·국어학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51760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198248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13263
    read more
  4. 팔자

    Date2007.09.08 By바람의종 Views8941
    Read More
  5. 폐하

    Date2007.09.09 By바람의종 Views9978
    Read More
  6. 푼수

    Date2007.09.10 By바람의종 Views11553
    Read More
  7. 한량

    Date2007.09.12 By바람의종 Views8500
    Read More
  8. 한성

    Date2007.09.18 By바람의종 Views11154
    Read More
  9. 한약 한 제

    Date2007.09.19 By바람의종 Views11072
    Read More
  10. 합하

    Date2007.09.20 By바람의종 Views8369
    Read More
  11. 행각

    Date2007.09.21 By바람의종 Views8224
    Read More
  12. Date2007.09.22 By바람의종 Views9088
    Read More
  13. ‘김치’와 ‘지’

    Date2007.09.22 By바람의종 Views6933
    Read More
  14. 형극

    Date2007.09.23 By바람의종 Views12396
    Read More
  15. 기다 아니다

    Date2007.09.23 By바람의종 Views14650
    Read More
  16. 호구

    Date2007.09.26 By바람의종 Views11342
    Read More
  17. 언어의 가짓수

    Date2007.09.26 By바람의종 Views12810
    Read More
  18. 호구

    Date2007.09.28 By바람의종 Views8384
    Read More
  19. 상일꾼·큰머슴

    Date2007.09.28 By바람의종 Views12612
    Read More
  20. 호남

    Date2007.09.29 By바람의종 Views9012
    Read More
  21. ‘기쁘다’와 ‘즐겁다’

    Date2007.09.29 By바람의종 Views12363
    Read More
  22. 홍일점

    Date2007.10.05 By바람의종 Views10818
    Read More
  23. 고려에 넣어?

    Date2007.10.05 By바람의종 Views8065
    Read More
  24. 환갑

    Date2007.10.06 By바람의종 Views18347
    Read More
  25. 언어 분류

    Date2007.10.06 By바람의종 Views13317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