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6.09.09 20:31

맞고요, 맞구요

조회 수 16530 추천 수 11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http://bbs.joins.com/content.asp?board_idx=2&page=32&tb_name=korean과거 권위주의 정권 시절 TV에서 대통령의 특이한 말투를 흉내낸다는 것은 상상하기 어려웠다. 오히려 외모가 비슷하다고 해서 한동안 브라운관에서 사라진 사람도 있었다. '문민정부'가 들어서면서부터는 정치 지도자들의 말투를 흉내내는 개그맨이 생겨나고 하나의 장기처럼 너도나도 따라 하게 됐다.

노무현 대통령의 당선과 함께 그의 특유한 어법인 '맞습니다. 맞고요'를 '노통장'이라 불리는 한 개그맨이 들고 나와 유행시키고 있다. 盧대통령의 어투는 대체적으로 경상도 사투리 속에 중간중간 '맞고요'가 나오고 뒷말이 이어지는데, 어딘지 모르게 친근감이 묻어나는 듯하다.

그런데 이 '맞고요'도 사투리가 아닐까 생각하는 이들이 있는 것 같다. '맞고요'와 '맞구요' 둘 중 어느 것이 표준어일까.

'~고'는 두 가지 이상의 사실을 대등하게 연결하는 어미이며 '~고요'도 마찬가지다. '~구''~구요'는 서울을 중심으로 구어체(대화)에서 흔히들 쓰는 말이지만 문어체(문장)에서는 표준어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 비슷한 예로, '사둔'과 '삼춘'이라고 말할 수 있지만 '사돈'과 '삼촌'으로 적어야 한다.

결국 '맞고요'가 맞고요, '맞구요'는 표준어가 아닙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32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83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814
3282 ‘강한 바람’만인가? 바람의종 2007.10.27 7148
3281 ‘개덥다’고? 風文 2023.11.24 1519
3280 ‘거칠은 들판’ ‘낯설은 타향’ 風文 2024.01.09 1748
3279 ‘건강한’ 페미니즘, 몸짓의 언어학 風文 2022.09.24 1397
3278 ‘걸다’, 약속하는 말 / ‘존버’와 신문 風文 2023.10.13 1554
3277 ‘경우’ 덜쓰기/최인호 바람의종 2007.04.25 7000
3276 ‘고마미지’와 ‘강진’ 바람의종 2008.04.08 8198
3275 ‘곧은밸’과 ‘면비교육’ 바람의종 2010.04.26 10316
3274 ‘괴담’ 되돌려주기 風文 2023.11.01 1563
3273 ‘그러지 좀 마라’ 바람의종 2010.02.07 7811
3272 ‘기쁘다’와 ‘즐겁다’ 바람의종 2007.09.29 12382
3271 ‘긴장’과 ‘비난수’ 바람의종 2010.03.30 17948
3270 ‘김치’와 ‘지’ 바람의종 2007.09.22 6953
3269 ‘꾹돈’과 ‘모대기다’ 바람의종 2010.05.09 13526
3268 ‘끄물끄물’ ‘꾸물꾸물’ 風文 2024.02.21 1589
3267 ‘나이’라는 숫자, 친정 언어 風文 2022.07.07 1406
3266 ‘내 부인’이 돼 달라고? 風文 2023.11.01 1190
3265 ‘넓다´와 ‘밟다´의 발음 바람의종 2010.08.15 22704
3264 ‘다음 소희’에 숨은 문법 風文 2023.02.27 1303
3263 ‘달 건너 소식’과 ‘마세’ 바람의종 2010.05.31 10772
3262 ‘당신의 무관심이 …’ 바람의종 2008.04.02 6524
3261 ‘대틀’과 ‘손세’ 바람의종 2010.05.28 1375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