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2.12.17 15:26

폭탄주! 말지 말자.

조회 수 19182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폭탄주! 말지 말자.

바야흐로 송년회의 시절, 떠도는 숫자가 있다. ‘112’와 ‘119’이다. ‘술은 1종류로, 1차로 끝내며, 2시간 넘지 않게 마신다(밤 9시 전에 마친다)’는 뜻을 담은 것이다. 술은 아예 마시지 않고 공연이나 영화를 보며 한해를 마무리하는 ‘문화 송년회’를 하는 모임이 꽤 많아졌지만, 맨송맨송한 자리는 왠지 허전하다며 ‘술 권하는 사회’를 좇는 세력은 여전하다. 웬만한 술자리에 빠지지 않는 게 폭탄주이다. 우리나라에서 폭탄주는 1983년 강원도의 군, 검찰, 경찰 등의 지역 기관장 모임에서 처음 만들어 마셨고, 당시 춘천지검장이던 박아무개가 널리 퍼뜨렸다고 한다.(위키백과)

1986년 이맘때 언론 매체에 처음 등장한 폭탄주는 ‘퇴폐풍조’의 하나로 꼽혔고(ㄷ일보), ‘속칭 폭탄주’로 다루어질 만큼 제도권 밖의 표현이었다.(ㅇ통신) ‘맥주가 담긴 잔에 양주를 따른 잔을 넣어서 마시는 술’인 폭탄주는 술 따르는 잔을 거꾸로 하는 ‘수소폭탄주’에 이어 ‘소폭’(소주+맥주)이 대중화된 세상이 되었다. 폭탄주는 술자리의 역할도 분화시켰다. ‘제조사’가 나왔고, ‘대량제조’가 필요한 곳에는 ‘제조창’도 등장한다. 폭탄주 ‘제조법’의 차이는 여럿이지만 대개 ‘마는 방법’에서 비롯한다.

폭탄주를 만드는 일은 화합물인 알코올을 다루는 것이니 ‘조제’(여러 가지를 적절히 조합하여 약을 지음)라 하는 게 ‘제조’(공장에서 큰 규모로 물건을 만듦/ 원료에 인공을 가하여 정교한 제품을 만듦)보다 원뜻에 어울리는 듯하다. ‘(폭탄주를) 말다’는 표현은 내게 여전히 낯설다. 언어 직관이 ‘밥을(국수를) 말다’처럼 ‘건더기를 물이나 국물에 넣는 것’을 ‘말다’로 받아들이기 때문이다. ‘술에 술을 섞는 행위’는 ‘섞다, 타다, 배합하다’인 것이다. ‘담그다’, ‘빚다’를 쓰는 것도 괜찮겠다. ‘(폭탄주) 한잔 빚어(담가) 드릴까요’ 하면, 자칫 거칠어질 수 있는 술판이 예스럽게 다듬어질지 모르니 말이다. 그 덕에 추억까지 빚어낸다면 금상첨화이고!

강재형/미디어언어연구소장·아나운서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53022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14554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14Sep
    by 風磬
    2006/09/14 by 風磬
    Views 19544 

    게거품

  5. No Image 20Jun
    by 바람의종
    2010/06/20 by 바람의종
    Views 19473 

    죄다, 죄여, 조이다, 조여

  6. No Image 05Mar
    by 바람의종
    2012/03/05 by 바람의종
    Views 19310 

    배부, 배포

  7. No Image 13Jan
    by 바람의종
    2008/01/13 by 바람의종
    Views 19285 

    볼장 다보다

  8. No Image 16Jun
    by 바람의종
    2010/06/16 by 바람의종
    Views 19266 

    널브러지다, 널부러지다, 너부러지다

  9. No Image 08Mar
    by 바람의종
    2009/03/08 by 바람의종
    Views 19241 

    알콩달콩, 오순도순, 아기자기, 오밀조밀

  10. No Image 17Dec
    by 바람의종
    2012/12/17 by 바람의종
    Views 19182 

    폭탄주! 말지 말자.

  11. No Image 09Feb
    by 바람의종
    2010/02/09 by 바람의종
    Views 19163 

    학을 떼다, 염병, 지랄

  12. No Image 03Dec
    by 바람의종
    2012/12/03 by 바람의종
    Views 18984 

    수입산? 외국산?

  13. No Image 25Jul
    by 바람의종
    2010/07/25 by 바람의종
    Views 18976 

    빌려 오다, 빌려 주다, 꾸다, 뀌다

  14. No Image 15Nov
    by 바람의종
    2011/11/15 by 바람의종
    Views 18813 

    초생달 / 초승달, 으슥하다 / 이슥하다, 비로소 / 비로서

  15. No Image 23Mar
    by 바람의종
    2009/03/23 by 바람의종
    Views 18808 

    주접떨다, 주접든다

  16. No Image 11Jun
    by 바람의종
    2012/06/11 by 바람의종
    Views 18762 

    야단법석, 난리 법석, 요란 법석

  17. No Image 02Nov
    by 바람의종
    2012/11/02 by 바람의종
    Views 18635 

    황제

  18. No Image 15Jun
    by 바람의종
    2012/06/15 by 바람의종
    Views 18625 

    차후, 추후

  19. No Image 01Sep
    by 바람의종
    2009/09/01 by 바람의종
    Views 18535 

    "드리다"의 띄어쓰기

  20. No Image 30Nov
    by 바람의종
    2012/11/30 by 바람의종
    Views 18524 

    박물관은 살아있다

  21. No Image 06Oct
    by 바람의종
    2007/10/06 by 바람의종
    Views 18404 

    환갑

  22. No Image 19Jul
    by 바람의종
    2010/07/19 by 바람의종
    Views 18202 

    하모, 갯장어, 꼼장어, 아나고, 붕장어

  23. No Image 16Oct
    by 바람의종
    2010/10/16 by 바람의종
    Views 18079 

    담배 한 까치, 한 개비, 한 개피

  24. No Image 29Feb
    by 바람의종
    2008/02/29 by 바람의종
    Views 18059 

    육시랄 놈

  25. No Image 15Jan
    by 바람의종
    2013/01/15 by 바람의종
    Views 18042 

    등용문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