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7.13 21:03

피동문의 범람

조회 수 9864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피동문의 범람

우리말은 능동문으로 쓰는 것이 자연스럽다. 하지만 요즘 이런저런 글들을 읽어보면 피동문이 범람하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영어에는 피동문이 많다. 영어를 우리말로 옮길 때 피동문을 그대로 옮기는 바람에 우리말에까지 피동문이 늘어나지 않았나 싶다.

“국가인권위는 진보의 영역인데, 왜 진보가 아닌 인사가 임명되었느냐는 문제제기인 것이다.” 중앙 일간지 칼럼에서 잘라온 구절이다.

“왜 진보가 아닌 인사가 임명되었느냐”는 피동문으로서, 물음인 동시에 문제제기이다. 누구에게 묻고 누구에게 문제를 제기한 것인가? 문제제기 대상은 당연히 ‘임명권자’이겠지만, 피동문을 씀으로써 마치 “왜 당신 같은 사람이 임명되었느냐”고 ‘임명된 인사’에게 따지는 것처럼 되었다. 경험적 인식으로 그냥 능동으로 받아들이겠지만, 문장 형식으로 보면 그렇게 된다. 그러나 능동문으로 바꾸어 “왜 진보가 아닌 인사를 임명하였느냐”고 하면, 이 또한 물음인 동시에 문제제기인 것은 마찬가지다. 그러나 누구에게 묻고 누구에게 문제를 제기한 것인가 하는 데서는 달라진다. 대상은 ‘임명권자’이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왜 저런 사람을 임명하였느냐”고 따지는 것이다.

물음과 문제제기의 대상을 누구로 하든 내용은 별로 달라질 것이 없다. 그러나 임명이 잘못되었다면 ‘자리에 앉은 사람’을 닦달하는 것이 아니라, ‘자리에 앉힌 사람’에게 문제를 제기하는 것으로 명확하게 쓰는 것이 반듯하다.

우재욱/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77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38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6100
3238 말의 평가절하 관리자 2022.01.31 1625
3237 부동층이 부럽다, 선입견 風文 2022.10.15 1625
3236 마녀사냥 風文 2022.01.13 1626
3235 기역 대신 ‘기윽’은 어떨까, 가르치기도 편한데 風文 2023.11.14 1630
3234 3인칭은 없다, 문자와 일본정신 風文 2022.07.21 1631
3233 세계어 배우기 風文 2022.05.11 1635
3232 대통령과 책방 風文 2023.05.12 1636
3231 아니오 / 아니요 風文 2023.10.08 1637
3230 마그나 카르타 風文 2022.05.10 1638
3229 귀 잡수시다? 風文 2023.11.11 1640
3228 도긴개긴 風文 2023.05.27 1641
3227 말다듬기 위원회 / 불통 風文 2020.05.22 1645
3226 세로드립 風文 2021.10.15 1645
3225 외부인과 내부인 風文 2021.10.31 1646
3224 왜 벌써 절망합니까 - 벤처대부는 나의 소망 風文 2022.05.26 1647
3223 아주버님, 처남댁 風文 2024.01.02 1647
3222 국민께 감사를 風文 2021.11.10 1648
3221 순직 風文 2022.02.01 1648
3220 ‘가오’와 ‘간지’ 風文 2023.11.20 1649
3219 어떻게 토론할까, 질문 안 할 책임 風文 2022.07.24 1650
3218 말로 하는 정치 風文 2022.01.21 1651
3217 직거래하는 냄새, 은유 가라앉히기 風文 2022.08.06 165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