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3352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강시울’과 ‘뒤매’

북녘에 ‘강시울’이라는 말이 있다. ‘강가’ 또는 ‘강변’의 뜻이다. ‘눈시울’, ‘입시울’(→입술)에서 보는 것처럼 ‘-시울’은 언저리를 나타낸다. 문학작품에서는 “춘권이 달려 나가 주낙줄 앞쪽을 잡았다. 그러나 고기가 하도 요동을 치는 바람에 줄을 잡은 채 강시울로 내려서려다가 그만 발을 헛디디어 줄을 놓쳐버렸다. 선생님이 물창에 뛰여드시였다.”(<성벽에 비낀 불길>, 박태민, 문예출판사, 1983년, 27쪽)와 같은 예가 있다. ‘물창’은 “물이 질퍽질퍽하게 고여 있는 것 또는 그러한 장소”이다.

‘뒷모습’ 또는 ‘뒷부분의 생김새’를 북녘에서는 ‘뒤매’라고 한다. 문학작품에서는 “어쩌면 태일이 그들처럼 밝고 양양한 행복을 안고 돌아올 것 같은 생각이 솔깃이 드는 것이였다. 그래서 해바라기처럼 웃는 얼굴로 멀어져가는 태일의 뒤매를 바래며 이윽토록 한 자리에 서 있었다. 용국은 성과총국을 통하여 새로 무은 뜨랄선 한 척을 먼저 받기로 아퀴를 지여 놓고 밤차로 늦게 돌아왔다.”(<해솟는 바다>, 손응준, 문예출판사, 1979년, 238쪽)와 같이 쓰인다. ‘뭇다’는 ‘만들다’의 뜻이며 ‘뜨랄선’은 ‘트롤선’(저인망 어선)이다.

전수태/전 고려대 전문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63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14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126
3304 할망구 바람의종 2007.04.24 11244
3303 할말과 못할말 바람의종 2008.01.05 7566
3302 할려고? 하려고? 바람의종 2010.07.25 14464
3301 할 일 없이 / 하릴없이 바람의종 2010.08.03 12933
3300 할 말과 못할 말 風文 2022.01.07 1469
3299 할 게, 할게 바람의종 2009.08.03 9740
3298 한풀 꺾이다 바람의종 2008.02.01 16039
3297 한통속 바람의종 2007.04.23 6518
3296 한테·더러 바람의종 2009.05.02 8881
3295 한터와 자갈치 바람의종 2008.03.12 9232
3294 한창과 한참 바람의종 2010.03.10 11558
3293 한참동안 바람의종 2007.04.23 9118
3292 한참, 한창 바람의종 2008.10.29 7954
3291 한잔, 한 잔 바람의종 2009.07.22 9253
3290 한자의 두음, 활음조 바람의종 2010.04.26 12247
3289 한자성어(1) 바람의종 2008.06.19 7560
3288 한자를 몰라도 風文 2022.01.09 1498
3287 한약 한 제 바람의종 2007.09.19 11071
3286 한식 요리 띄어쓰기 바람의종 2010.08.19 14122
3285 한소끔과 한 움큼 風文 2023.12.28 1369
3284 한성 바람의종 2007.09.18 11149
3283 한번과 한 번 1 바람의종 2010.08.14 1550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