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0874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달 건너 소식’과 ‘마세’

매스미디어가 오늘날처럼 발달하지 않은 옛날에는 풍문으로 들려오는 소식을 통해 세상이 돌아가는 것을 아는 경우가 많았다. 이때 풍문으로 들려오는 소식을 북녘에서는 ‘달 건너 소식’이라고 한다. 정확한 사전적인 의미는 “멀리서 들려오는 소식”이다. 그런데 멀리서 오는 소식이 왜 달 건너 오는 소식인지 궁금하기는 필자도 마찬가지다. 문학작품에서는 “강 건너 장군님의 부대가 압록강 연안을 휩쓸고 돌아가면 왜놈들을 삼대 버이듯 한다는 소리를 달 건너 소식으로 듣고 기뻐서 눈물을 흘린 적도 여러 번 있었소만 이렇게 장군님의 군사를 눈앞에 대하리라고야 어찌 생각이나 했겠소. 내가 바로 김명순이오.”(<그리운 조국산천>, 박유학, 문예출판사, 1985년, 318쪽)와 같이 쓰인다.

북녘에는 우리가 잘 쓰지 않는 말로서 ‘마세’라는 말이 있다. ‘말썽’이라는 뜻이다. 문학작품에서는 “《그래서 레방비장이 선사포로 부랴부랴 내려간 건가?》 《그렇다더군. 그런데 그처럼 마세를 일으켜 놓고도 그 물건짝들을 돌려달라구 떼질을 쓰는 통에 소동이 벌어졌다지 않겠나.》 《아니. 그런 뻔뻔스러운 놈들을 그냥 놓아둬? 남의 나라 법을 어기고 흥정하려 들다니?!》”(<성벽에 비낀 불길>, 박태민, 문예출판사, 1983년, 158쪽) 등과 같이 쓰인다.

전수태/전 고려대 전문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05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66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366
3282 한번, 한 번 / 파란색, 파란 색 바람의종 2010.11.21 12594
3281 한번, 한 번 바람의종 2009.03.26 7876
3280 한뫼-노고산 바람의종 2008.01.30 10651
3279 한목소리, 한 목소리, 한걸음, 한 걸음 바람의종 2010.06.01 13411
3278 한머사니 먹었수다! 바람의종 2009.09.18 7514
3277 한마음 / 한 마음 바람의종 2011.11.27 13259
3276 한량 바람의종 2007.09.12 8706
3275 한라산과 두무산 바람의종 2008.03.04 9801
3274 한눈팔다 바람의종 2007.04.02 12475
3273 한내와 가린내 바람의종 2008.04.05 9605
3272 한나절, 반나절, 한겻 바람의종 2008.11.23 10200
3271 한글의 역설, 말을 고치려면 風文 2022.08.19 1706
3270 한글의 약점, 가로쓰기 신문 風文 2022.06.24 1854
3269 한글박물관 / 월식 風文 2020.06.09 1870
3268 한글로 번역한다? 바람의종 2009.12.18 9827
3267 한글과 우리말 바람의종 2008.02.19 7660
3266 한글 맞춤법 강의 - 박기완 윤영환 2006.09.04 26609
3265 한글 바람의종 2010.07.19 8813
3264 한국어의 위상 風文 2022.05.11 1991
3263 한계와 한도 바람의종 2011.12.30 8616
3262 한거 가 가라! file 바람의종 2009.09.01 6642
3261 한강과 사평 바람의종 2008.06.05 781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