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7.06 23:05

여성

조회 수 6001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여성

언어예절

시대 따라 말도 바뀐다. 구별이나 다름, 달리 여김은 말을 새로 만들게 하는 바탕들이다. 1970~80년대 품이 많이 들던 공산품 생산 일꾼을 홀하게 일컫던 공순이·공돌이는 산업과 일하는 방식이 바뀌면서 잘 쓰이지 않는다. 식모는 가사도우미나 파출부로 일컫고, 부엌이 주방으로 들면서 부엌데기란 말도 듣기 어렵다. 맞벌이 세태에 전업주부란 말이 새롭다.

전날엔 꼭 성별을 구별해야 할 때 ‘여성’을 썼으나 요즘은 흔히 ‘여자’를 ‘여성’으로 바꿔 일컫는 경향이 뚜렷해졌다. 동식물을 암·수, 암컷·수컷(자성·웅성)으로 나누는 것과 견준다면 즐겨 쓴다는 게 우스운 일이 될 수도 있다. 사내·계집이면 될 것을 버르집은 꼴이다. 커리어우먼, 슈퍼우먼 따위 외래어도 따지고 보면 성차별스런 언어다.

스무살 안팎의 젊은 계집을 일컫는 말로 묘령·묘년·방년 …들이 있다. 묘령(妙齡)은 묘랑(妙郞)과 짝을 이루는데, 성인 여성을 폭넓게 가리키는 쪽으로 잘못 쓰는 이가 있다. 한창때 곧, ‘꽃나이’를 일컫는 말이다.
재원(才媛)이라면 재주 있는 여자(재녀)인데, 흔히 남녀를 가리지 못하고 쓰는 이가 적잖다.

영부인이라면 대통령 부인한테만 쓰는 것으로 오해하는 이가 있다. 남편이 누구든 남의 아내면 ‘부인’으로 충분하다. ‘여사’(女史)도 권위적이긴 하나 이를 성명 뒤에 붙여 부르면 좋아하는 이가 적잖으니 쓸모가 말짱 사라진 건 아닌 셈이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47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16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053
664 묵어 불어 바람의종 2009.07.14 6617
663 덕분 바람의종 2009.07.13 5808
662 이무기 바람의종 2009.07.13 7190
661 와인 바람의종 2009.07.12 7272
660 훕시 바람의종 2009.07.12 8952
659 먹고 잪다 바람의종 2009.07.10 6635
658 선비 바람의종 2009.07.10 6389
657 굴뚝새 바람의종 2009.07.08 6087
656 오부리 바람의종 2009.07.08 9245
655 송고리 바람의종 2009.07.07 7362
654 가드랬수 바람의종 2009.07.07 6395
» 여성 바람의종 2009.07.06 6001
652 솔새 바람의종 2009.07.06 7095
651 사파리 바람의종 2009.06.30 6660
650 몰로이 바람의종 2009.06.30 9327
649 가댔수? 바람의종 2009.06.29 6856
648 일자리 바람의종 2009.06.29 6215
647 가마우지 바람의종 2009.06.29 6401
646 엘레지 바람의종 2009.06.17 7491
645 줄이·존이 바람의종 2009.06.17 6383
644 먹어시냐 바람의종 2009.06.17 5925
643 말할 자격 바람의종 2009.06.16 743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