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7.06 23:05

여성

조회 수 5997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여성

언어예절

시대 따라 말도 바뀐다. 구별이나 다름, 달리 여김은 말을 새로 만들게 하는 바탕들이다. 1970~80년대 품이 많이 들던 공산품 생산 일꾼을 홀하게 일컫던 공순이·공돌이는 산업과 일하는 방식이 바뀌면서 잘 쓰이지 않는다. 식모는 가사도우미나 파출부로 일컫고, 부엌이 주방으로 들면서 부엌데기란 말도 듣기 어렵다. 맞벌이 세태에 전업주부란 말이 새롭다.

전날엔 꼭 성별을 구별해야 할 때 ‘여성’을 썼으나 요즘은 흔히 ‘여자’를 ‘여성’으로 바꿔 일컫는 경향이 뚜렷해졌다. 동식물을 암·수, 암컷·수컷(자성·웅성)으로 나누는 것과 견준다면 즐겨 쓴다는 게 우스운 일이 될 수도 있다. 사내·계집이면 될 것을 버르집은 꼴이다. 커리어우먼, 슈퍼우먼 따위 외래어도 따지고 보면 성차별스런 언어다.

스무살 안팎의 젊은 계집을 일컫는 말로 묘령·묘년·방년 …들이 있다. 묘령(妙齡)은 묘랑(妙郞)과 짝을 이루는데, 성인 여성을 폭넓게 가리키는 쪽으로 잘못 쓰는 이가 있다. 한창때 곧, ‘꽃나이’를 일컫는 말이다.
재원(才媛)이라면 재주 있는 여자(재녀)인데, 흔히 남녀를 가리지 못하고 쓰는 이가 적잖다.

영부인이라면 대통령 부인한테만 쓰는 것으로 오해하는 이가 있다. 남편이 누구든 남의 아내면 ‘부인’으로 충분하다. ‘여사’(女史)도 권위적이긴 하나 이를 성명 뒤에 붙여 부르면 좋아하는 이가 적잖으니 쓸모가 말짱 사라진 건 아닌 셈이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81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47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337
1654 먹고 잪다 바람의종 2009.07.10 6635
1653 선비 바람의종 2009.07.10 6389
1652 졸립다 / 졸리다 바람의종 2009.07.08 9563
1651 우리 민족, 우리나라 바람의종 2009.07.08 9023
1650 이제서야, 그제서야 바람의종 2009.07.08 9209
1649 굴뚝새 바람의종 2009.07.08 6084
1648 오부리 바람의종 2009.07.08 9241
1647 내일 뵈요. 바람의종 2009.07.07 8946
1646 나의 살던 고향은 바람의종 2009.07.07 8908
1645 아지랑이, 아지랭이 바람의종 2009.07.07 10605
1644 송고리 바람의종 2009.07.07 7362
1643 가드랬수 바람의종 2009.07.07 6392
1642 설레이다, 설레다 바람의종 2009.07.06 8994
1641 잔불 바람의종 2009.07.06 7740
1640 선팅, 로터리 바람의종 2009.07.06 7135
» 여성 바람의종 2009.07.06 5997
1638 솔새 바람의종 2009.07.06 7095
1637 이따가, 있다가 바람의종 2009.06.30 7885
1636 휫바람, 휘바람, 휘파람 바람의종 2009.06.30 15678
1635 바라+겠 바람의종 2009.06.30 6371
1634 사파리 바람의종 2009.06.30 6660
1633 몰로이 바람의종 2009.06.30 932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