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9.09 04:13

지나친 완곡

조회 수 4703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지나친 완곡

언어예절

말이 변하긴 하지만 두고 보기가 어려운 것들이 있다. 좋은 말을 버려놓는 노릇도 그렇다.

“옛날처럼 따뜻하게 대해 주시기 바라겠습니다.”
“그래서 평소 소신대로 방송 정책의 독립을 위해서 애써 주시기를 바라겠습니다.”
“자료실 많은 이용 바라겠습니다.”
"고객 여러분의 많은 성원 바라겠습니다.”

흔히 보고 듣는 말인데, 뭔가 맞갖잖고 어설프다. 한국인이면 누구나 그 화근이 ‘-겠-’인 것을 짚어낼 수 있겠다. ‘-겠-’은 때(미래)를 전제로 ‘추측·예견·의지·가능성·능력’ 따위를 나타내는 서술 보조사다. 듣는이를 생각하여 말투를 누그러뜨리고자 할 때도 쓴다.

위 따온말들을, 될수록 부드럽게, 당장보다는 나중 어느 시점부터 그렇게 하겠다는 다짐 정도로 헤아려 읽을 수는 있겠다. 그렇지만 ‘바라다’는 ‘현재 의지’로 진행되는 것이지 현재를 뛰어넘은 ‘미래 의지’로 쓸 말이 아니다. 그냥 ‘바란다·바라네·바랍니다’로 써야 솔직하고 간곡해지며 자연스럽다. 같은 계열로 ‘희망하다·소망하다·원하다·기대하다·빌다’ 들이 있는데, 이들도 ‘-겠-’과는 잘 어울리지 않는다.

“옆자리에 앉아도 되겠습니까? 그렇게 해 주신다면 얼마나 고맙겠습니까! 문 좀 닫아 주시겠어요? 자네 좀더 열심히 해야겠어!”처럼 부탁·명령·판단이 개입될 때 ‘-겠-’을 쓰면 좀 간드러지고 조심스런 말투가 되지만, 잘못 쓰면 자칫 과공이 비례가 된다는 말을 듣는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96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45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2373
2314 코끼리 바람의종 2008.09.07 7550
2313 그리고 나서, 그리고는 바람의종 2008.09.07 6614
2312 반딧불이 바람의종 2008.09.07 5660
» 지나친 완곡 바람의종 2008.09.09 4703
2310 참 좋지다 바람의종 2008.09.09 6274
2309 쇠발개발, 오리발, 마당발 바람의종 2008.09.09 8116
2308 들이키다, 들이켜다 바람의종 2008.09.09 10282
2307 뒷간이 바람의종 2008.09.18 7976
2306 음반이요? 바람의종 2008.09.18 6305
2305 주인공과 장본인 바람의종 2008.09.18 7526
2304 봉숭아, 복숭아 바람의종 2008.09.18 8507
2303 핫도그와 불독 바람의종 2008.09.18 8961
2302 '첫'과 '처음' 바람의종 2008.09.18 8724
2301 비치다, 비추다 바람의종 2008.09.18 11345
2300 작렬, 작열 바람의종 2008.09.18 11723
2299 바람의종 2008.09.19 7426
2298 남사, 남새, 남살, 남우사스럽다 바람의종 2008.09.19 9727
2297 냉면 사리 바람의종 2008.09.19 7837
2296 으뜸, 버금, 맞먹다, 필적하다 바람의종 2008.09.19 16955
2295 되겠습니다 바람의종 2008.09.20 4604
2294 양동작전 바람의종 2008.09.20 7789
2293 갈께/갈까 바람의종 2008.09.20 685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