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9.03 12:06

외래어란?

조회 수 6987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외래어란?

외래어

‘볼펜·컵·시디·컴퓨터·스피커·마우스 …’ 들은 책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들이다. 큰도시에는 ‘빌딩’들이 즐비하고 ‘버스’와 ‘택시’가 달리며, 농촌에서는 ‘콤바인’과 ‘트랙터’가 바삐 움직인다. 새삼스레 우리 생활에서 외래어가 흔히 쓰인다는 걸 깨닫게 된다.

국어사전에서는 외래어를 “외국에서 들어온 말로 국어처럼 쓰이는 단어”로 푼다. 그런데 ‘국어처럼’ 쓰인다는 게 무슨 뜻일까? 국어 문장 속에서 국어 낱말처럼 쓰인다는 뜻으로 이해할 수 있다. 곧 ‘아이스크림’이라는 말을 쓸 때 ‘나는 먹고 싶다 아이스크림’이라는 영어식 어순을 부려 쓰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외래어는 발음이 원어와 달라지게 되고, 때로 뜻도 달라진다. 같은 ‘cut’이지만 ‘커트’는 머리 모양이고 ‘컷’은 영상 용어다. 그래서 학자들은 외래어가 어느 정도 국어화된 것이라 본다. 국어화가 끝난 것은 ‘귀화어’라고 부르며, ‘담배·남포·고무·가방’ 같은 보기를 든다. 국어화가 덜 된 말은 ‘외국어’라 일컫는다.

일반 언중은 ‘외래어’라고 하면 국어처럼 된 것인지 아닌지를 따지지 않는다. 그냥 우리말이 아닌 듯하면 외래어라 일컫는다. 국어사전이 언중의 언어 지식을 담는 것이므로 이런 뜻풀이가 첫째 것으로 실려야 할 것이다. ‘다른 언어에서 들어와 우리말이 아닌 것으로 여겨지는 낱말’ 정도가 어떨까.

김선철/국어원 학예연구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231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96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712
2974 사이소예 바람의종 2008.09.02 6100
2973 숫구미 바람의종 2008.09.03 7841
» 외래어란? 바람의종 2008.09.03 6987
2971 거북 바람의종 2008.09.04 6755
2970 ‘-도록 하다’ 바람의종 2008.09.04 5289
2969 바람의종 2008.09.06 5450
2968 가외·유월이 바람의종 2008.09.06 7854
2967 껌과 고무 바람의종 2008.09.07 9723
2966 코끼리 바람의종 2008.09.07 7664
2965 지나친 완곡 바람의종 2008.09.09 4753
2964 참 좋지다 바람의종 2008.09.09 6316
2963 뒷간이 바람의종 2008.09.18 8030
2962 핫도그와 불독 바람의종 2008.09.18 9120
2961 바람의종 2008.09.19 7473
2960 되겠습니다 바람의종 2008.09.20 4636
2959 어디 가여? 바람의종 2008.09.23 4904
2958 맵토이 바람의종 2008.09.24 6982
2957 핀과 핀트 바람의종 2008.09.25 9024
2956 바람의종 2008.09.26 5224
2955 주소서 바람의종 2008.09.26 5932
2954 돟습니다레! 바람의종 2008.09.27 6836
2953 수만이 바람의종 2008.09.29 626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