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8.27 17:00

보게‘마씀’

조회 수 7093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보게‘마씀’

고장말

“혼디 모앙 살아 보게마씀.”(한데 모여 살아 보게요) ‘-마씀’은 제주에서 말끝에 붙여 쓰는 말이다. 말맛을 표준어로 바꿔 살리기는 어렵지만, 굳이 대어 보자면 들을이를 두루 높이는 데 쓰는 ‘-요’에 가장 가깝다. ‘-마씀’은 제주에 간들 쉽게 들을 수 있는 말이 아니다. 말할이와 들을이가 절친한 관계가 아니면 잘 쓰지 않기 때문이다. “고 선생은 무슨 큰일을 헌다고 야단인고마씀.”(<불과 재> 현길언) “어들 감수광?”(어디 가십니까?) “나마씀?”(나요?)

‘-마씀’은 ‘마슴·마시·마씨·마씸’과 같이 쓰이기도 한다. “아니, 그게 무슨 말씀이우꽈? 순이 삼춘이 돌아가셔서마씸?” “이장님마씸, 우리 사촌동상이 금녕지서에 순경으로 있우다. 김갑재라고마씸.”(<순이 삼촌> 현기영)

‘-마씀’과 바꿔 쓸 수 있는 제주말은 ‘-양’이나 ‘-예’다. ‘-예’는 제주말보다는 경상도 사람들의 전형적인 말투로 더 알려진 고장말이다. “삼춘, 어들 감수광?” “서울에 감수다양.” “자윈 혼저 감저양.”(저 아이는 혼자 가네요.)

다만 ‘-마씀’은 표준어 ‘-습니다’의 제주말 ‘-수다, 우다’와 함께 쓸 수 없지만, ‘-양’은 그런 제약을 받지 않는다. 제주 사람들은 “난 서울에 감수다마씀.” “버리밧(보리밭)이 사뭇 해영허게(하얗게) 눈이 덮였는디 말이우다마씀”과 같이 말하지 않는다.

‘-마씀’은 전라도말 ‘-라우’나 충청도 말 ‘-유’와 같이 제주말의 한 전형을 드러낸다.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33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81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789
2996 바람의종 2008.07.28 6314
2995 사룀글투 바람의종 2008.07.29 6504
2994 참 이뿌죠잉! 바람의종 2008.07.29 6172
2993 쟈근아기 바람의종 2008.07.31 6986
2992 부처꽃 바람의종 2008.07.31 5901
2991 바람의종 2008.08.03 6677
2990 이력서 바람의종 2008.08.03 5340
2989 아니어라우! 바람의종 2008.08.04 6643
2988 삭부리 바람의종 2008.08.04 7310
2987 양지꽃 바람의종 2008.08.08 5773
2986 바람의종 2008.08.08 5784
2985 실용글 바람의종 2008.08.11 4816
2984 오시소마! 바람의종 2008.08.11 7263
2983 어둔이 바람의종 2008.08.13 6435
2982 철쭉 바람의종 2008.08.13 8684
2981 바람의종 2008.08.21 7286
2980 설명글 바람의종 2008.08.21 5352
» 보게‘마씀’ 바람의종 2008.08.27 7093
2978 갈두·갈헌 바람의종 2008.08.27 7979
2977 미스킴라일락 바람의종 2008.08.28 7736
2976 돼지 바람의종 2008.08.28 6203
2975 일러두기 바람의종 2008.09.02 639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