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6.13 21:56

짝태

조회 수 8057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짝태

북녘말

짝태는 ‘명태의 배를 갈라서 밸을 꺼내고 소금에 절여서 넓적하게 말린 것’이다. 북어와의 차이는 ‘소금에 절여서 말렸다는 점’이다. 남녘에서는 짝태처럼 명태를 소금에 절여서 말리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남녘에서 북어는 ‘통째로 말린 것’과 ‘배를 갈라 내장을 꺼낸 뒤 넓적하게 말린 것’ 두 가지가 있다. 말리는 방식에 차이가 있는데, 둘 다 북어라 한다. 북녘에는 명태를 통째로 말린 북어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 사전에서 ‘밸을 따서 바싹 말린 명태’로 풀이하고 있기 때문이다. 북녘의 초기 사전 <조선말사전>(1961)에서는 북어를 ‘말린 명태’로 풀이하고 있어서 남녘 사전의 풀이와 같다. 북어 말리는 방식이 원래 달랐는데 나중에 사전에 반영된 것인지, 말리는 방식이 나중에 달라진 것인지는 확인하기 어렵다. 북녘에서는 북어를 ‘마른명태’로도 쓴다.

짝태는 어디서 왔을까? 북녘에서 짝태와 같이 쓰이는 말로, ‘짝명태·짜개명태·개명태’가 있다. ‘짜개다’와 ‘명태’가 결합한 ‘짜개명태’에서 ‘짝명태’, ‘개명태’로 줄었다가 ‘짝태’까지 간 것으로 보인다. ‘짜개다’는 ‘수박을 둘로 짜개다’와 같이 둘이나 그 이상으로 갈라지게 하는 것이다. <조선말대사전>(1992)은 ‘물고기의 배를 짜개다’처럼 ‘속이 드러나게 헤쳐놓다’는 풀이를 하고 있다.

생태·북어·동태·명란·명란젓·창난·창난젓 등은 남북 두루 쓰인다. 다만, ‘황태’, 반쯤 말린 ‘코다리’, 명태 새끼 ‘노가리’는 북녘에서 쓰이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66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14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175
3062 좋게 말하기 바람의종 2008.06.12 8249
» 짝태 바람의종 2008.06.13 8057
3060 망오지·강아지 바람의종 2008.06.13 8432
3059 꽝꽝나무 바람의종 2008.06.14 6525
3058 죽전과 삿대수 바람의종 2008.06.14 8157
3057 단말, 쓴말 바람의종 2008.06.15 6793
3056 강냉이 바람의종 2008.06.15 9455
3055 실구디·실구지 바람의종 2008.06.16 7815
3054 참나리 바람의종 2008.06.16 7637
3053 손돌과 착량 바람의종 2008.06.17 9068
3052 말과 생각 바람의종 2008.06.17 6155
3051 옥쌀·강낭쌀 바람의종 2008.06.18 8805
3050 간디·무작쇠 바람의종 2008.06.18 6395
3049 ‘앗다’ 쓰임 바람의종 2008.06.19 6863
3048 가마즁이·언년이 바람의종 2008.06.19 7014
3047 꿩의바람꽃 바람의종 2008.06.19 6452
3046 오음산과 오름 바람의종 2008.06.21 9386
3045 발칙과 점잔 바람의종 2008.06.21 7229
3044 다락밭 바람의종 2008.06.22 6074
3043 논이·노리개 바람의종 2008.06.22 4815
3042 쥐꼬리망초 바람의종 2008.06.22 6549
3041 사음동과 마름골 바람의종 2008.06.23 784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