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5.13 03:09

군말

조회 수 7391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군말

언어예절

음식과는 상관없이 때는 불로서, 요즘의 난방 에너지가 군불이다. 군일·군것질 따위는 일자리 늘리기 또는 큰 사업거리가 됐고, 사람따라 군살 빼는 일로 시끄러운 시절이다. 군말도 쓰임이 폭넓다. 정당한 말이 듣는이에 따라서는 군소리, 곧 불평으로 들을 때가 있다. 이때 인격·소통 문제가 불거진다. 말본에서, 제자리 아닌 데 가져다 쓴 말을 ‘군더더기’ ‘군글자’라고 한다.

“몸에 오른 열이 아직 식지가 않았다/ 도대체가 말도 안 된단 말이에요/ 그 방은 아무리 불을 때어도 따뜻하지를 않다 …”

숨을 고르고 강조하는 효과가 있어 여기서 군더더기를 짚어낼 이는 많지 않을 성싶다.

흔히 베풀어 설명할 때 “생각건대, 예컨대, 아마, 실로, 비록, 끝으로, 듣건대, 말하자면, 이른바 …” 들을 끼워넣는다. 나아가 “에, 음, 저기, 보세요, 어떻습니까, 그렇잖습니까 여러분! …”에다 침묵이나 몸짓·눈짓들도 잘만 쓰면 말을 아끼고 성검도 볼 수 있다.

“그러나, 그리고, 한편, 그래서, 따라서, 그러니, 아울러, 이에 따라, 이와 관련해 …” 따위 이음말(접속어)들도 흔히 쓴다. 문제는 잦을수록 글이 늘어지고, 괜찮은 말도 값싸게 들리게 하거나 군말로 만들 때가 많다. 듣는이나 읽는이가 불편해진다.

전날, 일노래에서 ‘메기는 소리’를 군말이라고 했다. 듣는이는 짧은 군말에도 ‘예이, 그렇지, 얼씨구 …’처럼 추임새를 준다. 연설에서도 사설이 길어서는 옳소나 손뼉치기 같은 반응을 얻기 어렵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43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08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968
2512 갈대 바람의종 2008.05.12 6671
2511 해라體와 하라體 바람의종 2008.05.12 6891
2510 사리원과 원효 바람의종 2008.05.13 7323
» 군말 바람의종 2008.05.13 7391
2508 "~대" 와 "~데" 바람의종 2008.05.13 10284
2507 다듬은 말 바람의종 2008.05.22 5662
2506 대장금①/능금 바람의종 2008.05.22 8275
2505 늘이다 / 늘리다 바람의종 2008.05.22 7937
2504 짚신나물 바람의종 2008.05.23 7046
2503 수자리와 정지 바람의종 2008.05.23 8144
2502 괴나리봇짐, 쇠털, 괴발개발 바람의종 2008.05.23 9259
2501 에두르기 바람의종 2008.05.24 7034
2500 소행·애무 바람의종 2008.05.24 8950
2499 들르다/들리다, 거스르다/거슬리다, 구스르다/구슬리다 바람의종 2008.05.24 12484
2498 대장금②·신비 바람의종 2008.05.25 9450
2497 홀아비바람꽃 바람의종 2008.05.25 8554
2496 '우레'가 운다 바람의종 2008.05.25 7882
2495 살피재 바람의종 2008.05.27 8044
2494 차별1 바람의종 2008.05.27 7148
2493 열 딸라 바람의종 2008.05.27 8186
2492 잊혀진(?) 계절 바람의종 2008.05.27 7684
2491 장보고·논복 바람의종 2008.05.29 876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 157 Next
/ 157